|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57 |
대한제국과 한일관계
25,000원
25,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A5
322쪽
2014년 4월 30일
9788949910208
책 소개
지금부터 100년 전 20세기의 한일관계는 대한제국이 일본에게 강제로 병합되면서 비극적으로 시작되었다. 강제병합에 의해 자주적인 발전이 좌절되고 근대적인 국민국가를 수립하는데 실패하였고 이후 일제에 의한 36년간의 굴욕적인 식민통치를 받게 되었다. 1945년 독립과 해방을 쟁취했지만 남북이 분단되어 한국현대사는 또 다른 불행이 시작되었다.
해방 70년이 되었는데도 남북관계는 물론 한일관계의 미래도 계속 불투명하기만 하다. 혹자는 오늘날의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이 개항이후 대한제국의 모습과 흡사하다고들 한다. 서구열강과 일본의 틈바구니에서 근대적 개혁과 자주 독립을 추구하던 대한제국은 우리에게 많은 역사적인 메시지를 전해준다.
대한제국은 어떤 나라였을까? 대한제국은 무엇을 추구했으며 왜 제국이 되려고 했을까 대한제국의 진정한 모습은 어떠했을까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특별히 기획된 국제학술심포지엄 "대한제국과 한일 관계"의 성과를 단행본으로 엮은 것이다.
대한제국 시기 한일관계의 역사적 실체와 대한제국의 다양한 근대적 성격을 재조명함으로써 대한제국에 대한 양분된 역사인식을 바로 잡는데 목적을 두었다
목차
발간사

기조강연
대한제국을 어떻게 볼 것인가? ∥ 이태진
- 심층적 연구 진행을 위한 제언 -
1. 머리말 _ 15
2. 기본사료로서의 고종황제실록 순종황제실록의 문제점 _ 19
3. 고종황제의 개화 의지와 근대화 세력에 관한 이해 _ 25
4. 근대국가, 산업 근대화의 성과에 대한 성찰(省察) _ 29
5. 일본제국의 ‘동양사’ 연구와 한국(근대)사 왜곡 _ 35
6. 맺음말 _ 39

주제발표
대한제국의 체제 개혁 ∥ 김도형
1. 머리말 _ 45
2. ‘제국’ 체제의 완성 : 「대한국 국제」 _ 46
3. 체제 개혁의 이념 : 신구절충(新舊折衷)과 유교 _ 51
4. ‘제국 신민(臣民)’의 양성 _ 55
5. ‘제국’체제의 안정화 : 양전사업과 식산흥업정책 _ 62
6. 맺음말 _ 66
<토론문> 현광호 _ 69

대한제국과 국제환경 ∥ 김영수
1. 머리말 _ 75
2. 러시아 사법부의 안중근 관련 조사 과정 및 수사 내용 _ 78
3. 이범진의 근대화 구상 및 외교 정책 _ 82
4. 러일전쟁 이후 이범진의 외교 활동과 그의 사망 _ 89
5. 맺음말 _ 95
<토론문> 김현숙 _ 98

대한제국의 일본인식과 정책 ∥ 한철호
- 주일 한국공사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_ 101
2. 의화군·이준용 및 망명자 송환 교섭 _ 103
3. 한일동맹 교섭 및 추진 _ 108
4. 한국중립화 협상 _ 115
5. 맺음말 _ 123
<토론문> _ 125

일본의 대한제국 인식과 그 정책 ∥ 오가와라 히로유키(小川原宏幸)
1. 머리말 _ 129
2. 근대 일본의 조선 인식 - 청일전쟁 전후까지 _ 131
3. 대한제국 성립에 대한 일본 신문의 논조 _ 134
4. 러일전쟁 하의 대한제국관 _ 139
5. 무관통감론의 계보 _ 142
6. 이토 히로부미의 대한제국인식 _ 146
7. 맺음말 _ 150
<원문> _ 155
<토론문> 이규수 _ 181

‘제국(帝國)’이 되기 위하여 ∥ 목수현
- 대한제국의 기념물 건립과 국가 상징의 제정과 활용 -
1. 들어가는 말 - 제국으로 보여지기, 상징의 필요성 _ 183
2. 제국의 상징 기념물, 원구단의 건립 _ 185
3. 독자성을 보여주고자 한 국기의 제정 _ 189
4. 국가(國歌)의 제정 : 에케르트의 <애국가> _ 192
5. 황실 상징의 제정과 국가 상징물의 보급 _ 195
6. 훈장 제정을 통한 국가 상징의 체계화 _ 203
7. 맺는 말 - 상징 제도의 근대화 노력과 상징 의미의 전통성의 결합 _ 207
<토론문> 김인덕 _ 209

제국의 시간, 양력이 시작되다 ∥ 김연수
1. 머리말 _ 213
2. 전통시대의 시간 체계와 역 _ 214
3. 문호 개방과 새로운 시간체제로의 편입 _ 218
4. 양력 시행, 근대적 시간체제로의 전환 _ 222
5. 맺음말 _ 229
<토론문> 岩方久彦 _ 232

제국의 기록, 사진이 말하다 ∥ 이경민
- 도한(渡韓) 사진사 무라카미 텐신과 대한제국 황실의 표상 -
1. 들어가는 말 _ 237
2. 사진술의 수용 노력과 좌절 _ 238
3. 일본인의 한성 진출에 따른 일본 사진사들의 도한 _ 240
4. 청일전쟁과 종군사진사 _ 241
5. 종군사진가, 신문사 특파원 및 보도사진가로서의 활동 _ 244
6. 사진관 개설과 사진방매소 운영 _ 247
7. 어용사진사로서의 활동 _ 251
8. 통감부와 총독부의 촉탁사진가 _ 262
9. 무라카미의 후계자와 촌상사진관의 기사들 _ 267
10. 나오면서 _ 269
<토론문> 김영민 _ 271

종합토론 _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