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학연구총서 9 |
[기획도서] 퇴계학과 근기실학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저, 편저
30,000원
30,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398쪽
2014년 6월 30일
9788949910291
책 소개
이 책은 퇴계의 학술과 그 학맥이 성호 이익을 宗匠으로 하는 근기 실학에 계승되고 극복되는 총체적 양상을 살펴 보고 있다. 즉 성리학과 실학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는 것이다. 근기실학을 개창한 성호 이익은 <이자수어>를 저술했고 다산 정약용은 <도산사숙록>을 저술해 퇴계 이황의 학문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퇴계학과 성호학파의 철학 사상사적 관계, 학문의 연원과 정신, 연속성 문제, 퇴계학 수용과 실학으로의 극복 양상 등을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해 퇴계의 학술과 그 학맥이 근기실학에 계승되고 극복되는 총체적 양상을 계승과 전환의 논리로 밝혀보고 있다.
예컨데 17세기에 들면서 중앙세서 영남(상주)으로 옮겨온 이옥, 이만부 부자, 소론인 호남의 임영, 노론인 김창협 김창흡 그리고 조성기 등 지역과 색론을 넘어서는 확산이 이루어 졌다. 가히 퇴계학의 중앙화, 전국화인 것이다. 또한 영남에서 퇴계학을 발전적으로 계승한 장현광은 '산림'으로서의 지위를 누렸다.
이러한 17세기의 신경향속에서 성호로 시작되는 근기 실학의 형성에 대한 연구는 퇴계학의 실학적 전환을 새롭게 재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목차
간행사


1부 : 퇴계학과 근기실학, 그 계승과 극복의 전망

성호의 퇴계학 인식과 계승ㅣ금장태

1. 성호의 퇴계학 계승과 근기실학의 새로운 관심 5
2. 퇴계와 성호의 학문적 연속성과 차별성 7
3. 사칠론에서 성호의 퇴계학의 계승과 재해석 12
4. 수양론과 예설에서 성호의 퇴계학의 인식과 계승 20
5. 한국사상사에서 퇴계학과 성호학의 위치와 의미 27

근기실학의 학문 연원과 퇴계학의 학문 정신- 이익과 정약용의 퇴계학 계승을 중심으로 -ㅣ김형찬

1. 머리말 33
2. 근기실학의 학문 연원 34
3. 성호 이익의 퇴계학 계승 39
4. 다산 정약용의 퇴계학 계승 44
5. 맺음말 49

근기학인近畿學人의 퇴계학退溪學 수용과 실학實學- 한백겸韓百謙과 유형원柳馨遠을 중심으로 -ㅣ조성을

1. 머리말 57
2. 16세기 말~17세기 초 구암 한백겸(1552~1615)의 퇴계학 수용 61
3. 17세기중엽 반계 유형원(1622~1673)의 퇴계학 수용 76
4. 맺음말 93

퇴계와 근기남인近畿南人의 학문적 연속성 문제 재검토- 중화논변中和論辯과 미발이발未發已發의 공부론工夫論을 중심으로 -ㅣ백민정

1. 머리말 : 선행연구사 검토 103
2. 퇴계의 미발론과 함양 및 경공부의 성격 107
3. 성호의 심성론과 심대소법의 공부론 120
4. 다산의 중화논변 비판과 집중 및 인심도심설 129
5. 맺음말 : 퇴계에서 다산으로, 공부론의 변화와 의미 136

퇴계 예학과 근기실학자의 예학- 퇴계退溪・성호星湖・다산茶山을 중심으로 -ㅣ박종천

1. 머리말 145
2. 퇴계의 의리 중심적 예론과 예설의 정립 149
3. 조선 후기 근기 실학의 예론 확대와 예설 변화 156
4. 맺음말 173


2부 : 17세기 퇴계학의 확산과 실학 형성

퇴계학退溪學의 계승 양상과 실학ㅣ임형택

1. 머리말 183
2. 도산급문제현과 퇴계학파 185
3. 퇴계학의 중앙진출 양상 187
4. 퇴계학에서 실학으로 전회 201

여헌 장현광의 도맥道脈과 퇴계학 전승의 문제 연구ㅣ황병기

1. 머리말 211
2. 사승 없이 이룬 우주사업 212
3. 여헌 성리설의 성격 217
4. 역리로 보는 여헌의 리기관 224
5. 퇴계학의 전환적 계승과 도맥 230
6. 맺음말 237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의 학문과 『도동편道東編』ㅣ정재훈

1. 머리말 245
2. 식산 이만부의 학문 247
3. 『도동편』의 학술적 위상 254
4. 『도동편』과 『성리대전』과의 비교 260
5. 맺음말 269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의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에 대하여ㅣ문석윤

1. 머리말 : 유학의 이념으로서의 선의 실천 285
2. 퇴계의 제안 : 두 가지 경로, 두 가지 선 288
3. 고봉과 율곡의 비판 : 한 가지 경로, 한 가지 선 294
4. 농암의 경우 : 한 가지 경로, 한 가지 선의 두 측면 298
5. 농암의 선 이론 : 리기승부론 306
6. 맺음말 313

조선 맹자학의 두 경로, 『맹자석의孟子釋義』와 『맹자질서孟子疾書』ㅣ함영대

1. 머리말 323
2. 조선 맹자학의 두 경로 326
3. 『맹자질서』에 수용된 『맹자석의』 331
4. 맺음말-성호가 계승한 퇴계학 346

퇴계退係와 성호星湖의 시학詩學ㅣ이종묵

1. 머리말 355
2. 퇴계-훈도의 시학 358
3. 시를 통한 퇴계와 성호의 대화 367
4. 성호-세교의 시학 375
5. 맺음말 385

찾아보기 - 388
저, 편저: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금장태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김형찬 :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
조성을 : 아주대학교 사학과 교수
백민정 : 가톨릭대학교 인문학부 철학전공 조교수
박종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교수
임형택 :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황병기 : 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정재훈 : 경북대학교 사학과 교수
문석윤 : 경희대학교 철학과 교수
함영대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이종묵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