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와 儒學 그리고 退溪學
강희복 저
14,000원
14,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152*224mm(A5신)
208쪽
2014년 7월 25일
9788949910352
책 소개
동아시아(East Asia)의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儒家와 道家 및 佛敎는 기본적으로 마음공부와 생태학적 세계관의 통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런 儒・道・佛의 문제는 “어떻게 하면 사람답게 살 수 있는가?”(儒),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고 자유롭게 살 수 있는가?”(道), “어떻게 하면 지혜롭게 살 수 있는가?(佛)라고 할 수 있다.

儒學(儒敎)은 주체의 변화(修己・明明德)와 사회적 실천(安人・新民)을 통해서 仁을 실현하고 聖人이 되는 것을 추구하는 사상(仁學・聖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유학(유교)의 문제는 존재의 근원에 대한 관심과 감사, 주체의 변화와 자유, 관계 속의 어울림과 실천 혹은 “(존재의 근원에)감사하고, (존재자들끼리)사랑하자”라고 요약해볼 수 있지 않을까?

退溪는 있음(生命)의 초월적 근원으로서의 님을 그리워하면서, 님의 뜻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 하였고, 그런 님을 믿고 님의 뜻에 따라 살려고 노력하였으며, 그런 님에 대한 그리움을 많은 詩作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이런 퇴계의 사상 속에서는 철학적 사유(理性)와 종교적 修行(靈性), 예술적 표현(感性)이 유기적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오늘의 우리에게 심미적 이성과 생태적 영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동아시아와 儒・道・佛

1. 동양사상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儒學이란 무엇인가? (근원・주체・관계)
3. 道家란 무엇인가?
4. 佛敎란 무엇인가? (문제・역사・세계관)
5. 新儒學이란 무엇인가?
6. 동양사상에서의 ‘같음’(同)과 ‘다름’(異)의 문제
7. 孔子의 學問觀과 敎育論

제2장 한국사상과 退溪學

1. 한국의 철학과 사상
2. 한국사상의 原型 : 壇君神話의 보편성과 특수성
3. 한국불교(元曉와 知訥)
4. 退溪의 삶과 思想
5. 退溪와 栗谷, 무엇이 같으며 어떻게 다른가?
6. 退溪學派와 栗谷學派에 관하여
7. 實學과 茶山 丁若鏞
8. 水雲 崔濟愚와 東學

책을 마무리하면서s
-‘ECOLOGICAL HEALING’을 위하여
저: 강희복
연세대학교 철학과 졸업
연세대 대학원 철학과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 졸업
(철학박사, 한국철학 전공)
現)연세대 철학과(신촌・원주) 강사

주요논문 및 저서
「退溪의 ‘心與理一’에 관한 연구」(박사논문, 2003)
「退溪學의 구조와 그 의미」
「退溪의 詩와 心學」
「退溪 心學에서의 敬과 즐거움(樂)」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공저), 한울(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