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 목면과 향료의 바닷길
박남수 저
19,000원
19,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152*224mm(A5신)
262쪽
2016년 2월 29일
9788949911892
책 소개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식물성 면을 우리 역사에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 책은 한국 고대 목면과 향료를 중심으로 당시의 바닷길을 중심으로 한 무역 즉, 고대 바닷길을 개척하고 교류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목면은 의생활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고대의 옷감과 신라의 의생활을 다루고, 목면의 전래 루트를 밝히고자 하였다. 고구려의 백첩포는 중앙아시와의 교류를 통하여 고분벽화에 보이는 각종 서역문물과 함께 육로를 통하여 전래된 것이지만, 백제의 식물성 면은 새로운 바닷길을 개척함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다. 이에 대해 신라의 백첩포는 일본에 전래된 목면을 9세기 신라상인들의 교역을 통하여 신라에 들여와 직조한 것이었다.
향료는 본래 불교의 전래와 함께 들어 왔지만 일종 신약과 같은 존재였다. 따라서 향료는 부처님의 공양품으로서 기능하기도 하였지만 의학기술의 발전과 흐름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8~9세기 무렵 향료가 신라의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 정도에 불과하였지만, 약재로서 뿐만 아니라 안료와 염료, 향분(화장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향료의 활용은 결국 신라산 약재를 자체 개발하게 하였거니와, 9세기 중엽에는 당나라 강남도의 동서교역의 현장에 주요 신라 산물로서 이를 매매하기도 하였다. 9세기 재당신라상인으로 대표되는 이들의 활약은 장보고를 승계하여 동서교역의 루트를 신라, 일본으로 이어지는 바닷길로 연장하였던 것이다.
바닷길을 통해 목면과 향료의 교류와 유통에는 서역 기술의 전래와 새로운 종교, 사상, 정치 제도의 수용과정이 포괄되어 있다. 그것은 일방적인 전수과정이 아니며 상호 주고 받는 교류와 소통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길은 처음에는 육로를 통하였지만, 삼국의 역사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소통과 교류의 길로서 바닷길이 개척되었고, 마침내 우리 고대문화의 동력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목차


우리 역사상의 목면과 향료의 유래 … 11

제Ⅰ편 | 목면의 바닷길 … 23

제1장 면과 의생활 … 25
제1절 명주(綿)와 목면, 백첩포 … 25
제2절 신라인의 의생활 … 36

제2장 목면의 수용과 교역의 바다 … 73
제1절 고구려의 백첩포와 목면의 길 … 73
제2절 백제 능산리 사지의 목면과 바닷길의 개척 … 78
제3절 신라의 백첩포와 동아시아 해역 … 97

제Ⅱ편 | 향료의 바닷길 … 111

제1장 불교의 수용과 향 … 113
제1절 불교의 전래와 향 … 113
제2절 불교 의례와 향 … 120

제2장 향료의 용도와 유통 … 131
제1절 신라의 의학과 일본 전래 … 131
제2절 732년의 신라사신과 일본 황후궁의 法隆寺 헌납 향목 … 136
제3절 752년 김태렴의 신라물과 향료 … 158

제Ⅲ편 | 8~9세기 신라의 동서 교역과 면·향의 유통 … 187

제1장 장보고의 바닷길과 동아시아 교역 … 189
제1절 8~9세기 신라-일본간의 외교적 갈등과 신라 귀족의 사무역 … 189
제2절 애장왕대 신라-일본간의 교빙 결호 … 196
제3절 장보고의 등장과 동아시아 해역 … 202

제2장 재당 신라상인과 면·향의 동서 교역 … 216
제1절 재당신라상인의 교역과 바닷길 … 216
제2절 당나라 강남도의 신라물과 동서 교역 … 219

부록 : 고대 동아시아 세계의 교역과 교관 … 232

한국 고대의 교역사 연구에 있어서 개념의 문제 … 232
1. 대외 교역의 전개와 변화의 기 점 … 235
2. 교역 관련 명칭의 갈래와 개념 … 242

맺음말 252

참고문헌 256
저: 박남수
동국대 사학과를 나오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신라수공업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후 한국 고대 교역사와 정치사, 사상사를 연구하였다.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으로 재직하며, 주요 저서로 『신라수공업사』(1996),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2011), 『신라 골품제 사회와 화랑도』(2013) 등이 있고, 다수의 한국 고대사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