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성물聖物, 불복장佛腹藏
정은우, 신은제 저
29,000원
29,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기타
342쪽
2017년 11월 30일
9788949943169
책 소개
불교는 고유한 교리, 교단조직, 의례체계를 갖춘 종교로 오랜 전통을 지니며 발전하였다. 특히 불교의례는 불교가 유입된 삼국시대부터 시작하였으며, 신자들의 일상을 규제하고 그들의 종교적 염원을 현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불복장 의례는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다양한 불교 의례 중에서 특별하게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불상을 조성한 뒤, 각종 물목들을 불상 내부에 안립安立하는 복장의례는 당시 불교사회와 문화의 구체적 양상을 보여줄 뿐 아니라, 해당 시기에 사용된 각종 물목의 양상, 의례 참여자들의 구성과 종교적 염원을 알려 준다.

복장의례는 인도에서 처음 시작되어 중국을 거쳐 한반도로 유입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각종 문헌자료와 복장물 조사를 통해 대략 고려중기에는 이미 시행되었으며 14세기가 되어 중요한 불교의례로 정착하였고 조선이 건국된 이후 규범화 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즉 복장의례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여러나라에서 시행되었고 한국에서는 중요한 불교의례 중 하나로, 고려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전하였다. 고려의 복장의례는 불교경전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거쳐 독창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러한 특징은 복장물목과 발원에서 잘 드러난다. 안립된 복장물목은 매우 다양해 불교의례에 사용된 물목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안립이 이루어진 시기의 물질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발원문 역시 당시 불교신앙에 대한 풍부한 정보와 조력자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처럼 복장물목과 발원문은 고려시대의 미술사, 복식사, 불교사 등을 재구성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하고 흥미로운 사실들을 제공해 준다. 고려시대 복장의례는 조선시대로 이어졌고, 조선시대에 <조상경>이 만들어진 이후에는 더욱 규범화되어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현재 복장의례는 불복장 작법으로 무형문화재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세계무형유산으로 논해 질 정도로 한국적 독창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고려시대의 복장의례와 발원문 내용을 검토한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었다. 1부는 복장물이 안립된 고려시대의 불상과 복장물의 시작과 유래, 구성 그리고 밀교경전과의 연관성 등을 서술하였다. 2부에서는 복장물이 안립된 불상별 목록을 정리하고 발원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발원자의 계급구성과 종교적 염원을 확인하고자 한다. 3부는 발원문의 형태를 분류하고 그 내용을 종합하여 복장의례에 참여한 구성원들에 대한 계급과 불교신앙의 양상을 다루었다.

이 책은 오랫동안 계획되었지만 원래의 계획과 의도대로 진행되지 못한 부분도 있다. 그럼에도 고려후기 복장물과 발원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이 시도가 우리나라 불복장물, 복장의례, 그리고 불교신앙의 양상과 주체에 대한 연구의 첫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

14세기 복장물과 발원문을 정리한 이 책의 출간은 많은 분들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하였다. 도와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특히 자료를 기꺼이 공개해 주시고 아낌없이 도와주신 청량사 지현 회주스님, 장곡사 서호주지스님, 수덕사 근역성보관 정암관장스님께 감사드린다. 공개되지 않은 불상 조사를 허락해 주신 삼성미술관 리움의 관계자 분에게도 고마움을 전한다. 불복장의 세계에 들어갈 기회와 흥미를 제공해 주신 장춘사 경암주지스님 그리고 조사는 물론 오랫동안 학자로 성장하는 모습을 지켜 봐주신 온양민속박물관 신탁근 고문님께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판을 기꺼이 맡아준 경인문화사 한정희 사장님과 편집부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목차
제1부 고려의 불상과 복장물
Ⅰ. 복장을 지닌 고려시대의 불상
Ⅱ. 고려시대 불복장의 특징과 형성배경
1. 복장물의 시원과 명칭
2. 고려시대 복장물 사례와 특징
3. 경전과 복장물의 구성 요소
4. 복장물의 형성과 의미
5. 복장물의 중요성과 가치

제2부 고려시대 복장물 현황과 발원문
Ⅰ.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 발원문 내용
2. 불상의 조성시기와 중수처
3. 발원자
Ⅱ. 온양민속박물관
1. 발원문
2. 불상의 제작시기와 봉안처
3. 발원문 내용과 특징
4. 발원자
Ⅲ. 1322년 천수관음보살상
1. 1322년 천수관음주성원문의 내용
2. 발원자와 시주물목
Ⅳ. 서산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
1.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의 내력과 복장물
2. 결연문 내용과 발원자
Ⅴ.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1. 금동약사여래좌상 복장물과 특징
2. 발원문 구성
3. 발원문 내용과 특징
4. 발원자
Ⅵ. 문수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1. 발원문 종류와 내용
2. 발원문의 특징
3. 발원자
Ⅶ. 삼성미술관 리움 은제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발원문 내용과 특징
2. 발원자
Ⅷ. 기타 복장물 목록
1.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2. 통영 안정사 금동여래좌상
3.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제3부 고려후기 발원문 내용과 발원자
Ⅰ. 고려후기 발원문의 형식적 특징
Ⅱ. 발원 내용
Ⅲ. 발원자

부록 원문
1.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2. 온양민속박물관
3. 1322년 천수관음보살상
4.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
5.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6. 문수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7. 삼성미술관 리움 은제아미타여래삼존좌상
저: 정은우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하여 불교조각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아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석당박물관장을 맡고 있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사)한국미술사학회 회장, 미술사연구회 회장 그리고 조계종 총무원 성보문화재위원, 충청남도 문화재위원, 부산광역시 문화재위원, 경상남도 문화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에 <고려후기 불교조각연구>, <불상의 미소> 등이 있으며 <한국불교미술사>(공저) <서일본 지역 한국의 불상과 불화>(공저), <고려와 북방문화>(공저) 등 다수가 있다.

저: 신은제
동아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고려시대 사회경제사를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대학교와 창원대학교 등지에서 강의하였으며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고려사역주사업단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국역 고려사> 역주에 참여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14세기 전반 원의 정국동향과 고려의 정치도감」,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발원문과 발원자들」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고려시대 전장의 구조와 경영> 등이 있다. <국역 고려사> 1~30을 역주하였으며, <중국 지주제의 역사>를 번역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