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한일관계연구총서 73 |
일본인의 형성과 한반도 도래인
세키네 히데유키[關根 英行] 저, 역주
44,000원
44,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628쪽
2020년 4월 29일
9788949948881
책 소개
‘일본인의 기원’과 한국의 관련성

이 저서는 오늘날까지 이루어진 일본인의 형성에 관한 연구 가운데 ‘한반도에서 이주한 사람’, 즉 ‘한반도 도래인’의 위상을 통해 일본학계의 인식 문제를 고찰한 것이다. 근대 이후 일본에서는 일본인의 형성 문제가 흔히 ‘일본인의 기원’ 내지 ‘일본민족의 기원’이라는 용어로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 사이에서도 많은 관심을 끄는 주제로 자리 잡아왔다.
근대 이후의 일본은 제국주의 노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강력한 국민 정체성 조성 작업을 병행해 왔다. 그것은 국위선양을 위한 국수주의 강조 이외에도 영토 팽창으로 ‘일본인’의 범주를 수시로 수정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정치성을 띤 일본인의 형성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이 한국인과의 관련성을 어떻게 인식했는지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연구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

서장
1. 연구의 취지 및 목적
2.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책의 구성

제1부 착종된 근대 이데올로기와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

제1장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의 추이
1. 머리말
2. 에도시대 고증학자에 의한 도래설
3. 메이지・다이쇼시대의 도래설
4. ‘15년전쟁’기의 한반도 도래설
5.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도래설
6.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의 부활
7. 맺음말

제2장 한국병탄 이전에 제창된 일선동조론
1. 머리말
2. 에도시대의 한반도 도래인 이주설
3. 메이지・다이쇼시대의 일선동조론
4. 일선동조론의 학술성과 이데올로기
5. 맺음말

제3장 쓰다 소키치의 황국사관과 한반도 도래인
1. 머리말
2. 황국사관으로서의 쓰다사학
3. 방법론으로서의 신화 이해의 타당성
4. 숨겨진 목적과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5. 한반도 도래인의 흔적 말소
6. 맺음말

제4장 한반도 도래인을 부정한 황국사관・우생학 인류학자
1. 머리말
2.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을 부정한 학설
3. 도래설 부정론의 사상적 배경
4. 도래설 부정론에 대한 학계의 평가
5. 맺음말

제5장 ‘경성학파 인류학’에 의한 일본인의 한반도 도래설
1. 머리말
2. 경성학파 인류학의 학설과 학통
3. 귀환 후의 재건을 향한 태동과 좌절
4. 경성학파 인류학의 학설에 대한 평가
5. 맺음말


제2부 전후 한반도 도래인을 재조명한 인류학자와 그 한계

제6장 가나세키 다케오의 한반도 도래인 재조명
1. 머리말
2. 한반도 도래인의 재조명
3. 우생학 주의자로서의 의혹
4. 한반도 도래인의 인정과 범인류적 인본주의
5. 맺음말

제7장 하니하라 가즈로의 대규모 도래설
1. 머리말
2. 한반도 도래인의 대규모 도래설
3. 하니하라의 한반도 회피 태도
4. 한국을 회피하는 인식 문제
5. 맺음말

제8장 현대 자연인류학자의 한반도 도래인 인식
1. 머리말
2. 조사 대상자와 연구방법
3. 학설 속의 한반도 도래인의 위상
4. 연구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자각
5. 한반도 도래인을 회피하려는 인식
6. 맺음말


제3부 전후 고고학자의 한반도 도래인 연구와 그 한계

제9장 고고학자에 의한 한반도 도래인 인식
1. 머리말
2. 인류학자의 도래설에 대한 부정적 평가
3. 한반도 도래설을 부정하려는 인식
4. 고고학자에 의해 계승된 도리이의 학통
5. 맺음말

제10장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전시 속의 한반도 도래인
1. 머리말
2. 고고학에 의한 문화 교류를 중시한 리뉴얼 작업
3. 야요이・고훈시대 전시의 주안점
4. 야요이시대의 도래인 전시 내용
5. 고훈시대의 도래인 전시 내용
6. 맺음말

제11장 에가미 나미오의 일본민족과 일본국가 형성설
1. 머리말
2. 에가미의 문명사관
3. 중국 중남부에서 찾은 일본민족의 기원
4. 한반도 북쪽 너머에서 찾은 천황의 기원
5. 한반도 도래인을 회피하는 인식 문제
6. 맺음말


제4부 전후 민족학자들의 도래인에 대한 시각

제12장 오카 마사오의 일본민족문화 형성설
1. 머리말
2. 정치적 행보와 연구 목적 및 방법의 추이
3. 한반도 도래인의 위상 격하
4. 일선동조론을 회피하는 인식
5. 맺음말

제13장 사사키 고메이의 일본문화 형성설
1. 머리말
2. 도래인을 외면한 일본문화 형성설
3. 사사키 설의 배경: 생태학과 비교민족학
4. 한반도 도래인의 과소평가
5. 맺음말

제14장 오바야시 다료의 한일 왕권신화 계통론
1. 머리말
2. 학풍과 신화연구
3. 오바야시가 밝힌 왕권신화의 유사성
4. 시대별 유사성 해석의 추이
5. 천황의 한반도 도래설을 기피하는 인식
6. 맺음말

종장 한반도 도래인에서 고대 한국인으로
1. 머리말
2. 상반된 학통
3. 왜곡된 인식
4. 왜곡된 학설 유형
5. 새로운 접근과 제안

초출일람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저, 역주: 세키네 히데유키[關根 英行]
1962년 11월 9일 출생
1988년 쓰쿠바대학[筑波大學] 인간학류[人間學類] 졸업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 석사학위 취득
200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 박사학위 취득
1995년 성심외국어전문대학 전임강사
1997년 동의대학교 일어일문학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2006년 경원대학교 일어일문학과 부교수・교수
현 가천대학교 동양어문학과 교수
현 한국일본근대학회 회장
현 한국일본사상사학회 부회장
저역서 『한국인과 일본인 에토스의 연원에 관한 연구』(2001, 제이앤씨) 『비교공공성으로 본 한국과 일본의 고대사』(공저,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동아시아의 전통문화와 스토리텔링』(공저, 서경문화사, 2017) 『죽음의 풍경을 그리다: 한국적 생사학을 위하여』(공저, 모시는사람들, 2015) 『氣의 비교문화』(공역, 한을, 2006) 『일본도덕사상사』(공역, 예문서원, 2005)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