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임진왜란과 조선 그리스도교 전사(前史)
박형무 저
43,000원
43,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152*224mm(A5신)
730쪽
2021년 9월 16일
9788949949888
책 소개
임진왜란과 천주교의 한반도 전래

우리나라의 천주교는 선교사의 도움 없이 평신도의 자발적인 노력에 의해 신앙의 진리를 발견하고, 교회 공동체에 의해 복음이 전파되고, 성직과 성사가 이루어지며 결국 순교에까지 이르는 열절한 신앙을 내보인, 세계 교회사에 그 유래가 없는 독특한 역사를 갖고 있다. 또한 성직자가 없음에도 교구로 설정된 유일한 나라라는 독특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천주교가 우리나라에 처음 알려진 것은 어느 시대일까?’라는 물음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었다. 우리나라 천주교회의 탄생은 이승훈(李承勳)이 북경 북당의 그라몽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돌아와 수표교(水標橋)에서 세례를 베풀어 공동체를 만든 1784년을 그 기원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임진왜란 기원설’을 주장하고 있는데, 특히 스페인 예수회에 의해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 또한 그리스도교가 임진왜란을 통해 조선으로 유입되었다는 판단 아래 수차례 일본을 건너가 관계되는 지역과 관련 서적들을 구입해 탐독했고, 임진왜란과 관련된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을 찾아다니며 그 많은 왜성(倭城:일본군들이 국내에 지은 성)의 발자취를 따라 당시의 상황들을 채록했다.

임진왜란은 그 성격을 규정짓기가 쉽지 않은 전쟁이다. 16세기 말 동아시아 3국이 관여해 아시아를 뒤흔들었던 최대의 전쟁이었으나 한·중·일 3국은 모두 자기 국가 역사관의 범위 안에서 그 연구를 진행해 왔기 때문이다.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의 거대한 소용돌이 속에서 필연코 많은 사람들의 강제적인 이동으로 인해 여러 분야에서 섞임과 교류가 이루어졌을 것이며 전통과 문화, 일상생활, 정신과 생각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을 것이다. 비록 침략자이기는 하나 일본 천주교 왜장과 병사들의 조선 내 유입, 이로 인해 후속적으로 사목을 위한 신부들의 조선 방문과 정착 및 조선 포로들과의 만남 그리고 이들의 천주교 개종, 이에 덧붙여 명나라에서의 예수회 신부 마테오 리치의 활동 등 왜란의 배경에는 종교의 전파라는 커다란 사건이 놓여 있었다.

하지만 임진왜란은 우리의 이해관계와는 무관하게, 일본의 일방적인 침략과 약탈과 살육의 전쟁이었기에 이 논제는 우리의 관점에서는 ‘악함의 극치’에서 종교라는 ‘선함의 정점’의 뿌리를 찾는 역설을 안고 있다. 그리고 신앙의 관점에서 임진왜란을 관찰해 볼 때 신앙 전래의 주체인 일본을 중심에 두고 기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임진왜란에 대한 우리의 기본적인 생각과는 배치(背馳)되고 오해를 살 우려도 없지 않다. 아무리 종교적인 관점에서 본다고 하더라도 조선을 침략하고 수많은 무고한 사람들을 살육한 그 잔인한 행위들이 종교라는 선함으로 가려지지는 않을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불행이 이 땅에 천주 신앙이 전래되는 계기가 되고 나아가 전교로까지 발전되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을 좀 더 객관적으로 보고 정리함으로써 그동안 불편하게 느껴져 왔던 임진왜란과 이후의 시간 속에서 일본을 통한 조선과 조선인에 대한 그리스도교의 전래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국(異國) 일본에서 천주 신앙을 받아들여 처음으로 교회를 세우고, 믿음을 지키기 위해 엄청난 박해를 견디며, 궁극에는 순교로 나아간 우리 조선인 신앙 선조들을 돌이켜 보고자 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추천의 글
들어가는 말| 순천왜성과 고니시 유키나가

제1부. 일본 천주교회사 속의 임진왜란
제1장. 천주교의 한반도 전래설
제2장. 최초의 조선 가톨릭 전교 계획
제3장. 예수회와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제4장. 프란치스코 하비에르에 의한 천주교 전래
제5장. 일본 천주교의 시작과 부흥
제6장. 일본 천주교의 번영
제7장. 덴쇼견구소년사절(天正遣欧少年使節)의 파견과 귀국
제8장. 일본 통일과 그리스도교 금제: 파테렌(伴天連)추방령
제9장. 임진왜란 직전의 일본의 정세와 천주교의 동태
제10장.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아우구스티노
제11장. 조선을 침략한 천주교 무장들
제12장. 임진왜란 이후 일본 천주교 상황과 고니시 유키나가
제13장. 일본 최초의 기리시탄(切支丹) 대순교: 26 순교 성인
제14장. 마테오 리치의 편지: 일본과 중국의 평화협상
제15장. 다테 마사무네(利達正宗)와 게이초견구사절
제16장. 아리마 하루노부와 오카모토 다이하치 수뢰 사건
제17장. 게이초 금령(慶長禁令)과 기리시탄의 국외 추방
제18장. 게이초 금령 이후 박해와 순교
제19장. 시마바라(島原)-아마쿠사(天草)의 난
제20장. 파리외방전교회에 의한 일본의 재(再)선교
* 부록: 일본 천주교회사 연표

제2부. 임진왜란과 천주교 전래
제21장. 임진왜란・정유재란 다시 보기
제22장. 조선에 전래된 천주교의 가르침: 천주교리서 도입
제23장. 조선 최초의 천주교회 탄생
제24장. 조선 땅을 밟은 최초의 서구인, 그레고리오 데 세스페데스 스페인 예수회 신부
제25장. 세스페데스 신부의 편지: 편지 전후의 조선 상황
제26장. 세스페데스 신부의 첫 번째 편지
제27장. 세스페데스 신부의 두 번째 편지
제28장. 세스페데스 신부의 세 번째 편지
제29장. 세스페데스 신부의 네 번째 편지
제30장. 세스페데스 신부의 다섯 번째 편지


제31장. 조선으로 왔던 다른 예수회 신부들
제32장. 조선 피로인(披擄人)
제33장. 조선 피로인의 귀환
제34장. 일본에 남겨진 조선 피로인
제35장. 조선 피로인의 매매와 선교사들의 구제
제36장. 조선 피로인의 천주교 개종
제37장. 조선인 천주교 신자의 귀환
제38장. 사명당과 일본 예수회: 해남 대흥사 황금십자가의 유래
제39장. 조선인 신자들의 박해와 순교

제3부. 조선인 순교자와 증거자
제40장. 조선 최초의 순교자 하치칸 호아킨, 1613년
제41장. 아리마 궁의 조선 여인 막시마, 1613년
제42장. 구치노츠의 대순교: 코라이 미겔과 베드로 진구로, 1614년
제43장. 벙어리 마누엘, 1614년
제44장. 군나이 도마, 1614년
제45장. 조선 승지의 아들 도주쿠 토마스, 1618년
제46장. 아리조 베드로와 쇼사쿠 토마스, 1619년
제47장. 복자 다케야 소자부로 코스메, 1619년
제48장. 복자 코라이 안토니오 일가의 순교, 1622년
제49장. 에도의 레오 다케야 곤시치(竹屋權七)와 모친 마리아, 1623년
제50장. 오다(大田)줄리아
제51장. 구자에몬(嘉左衛門) 시스토와 부인 카타리나, 1624년
제52장. 조선인 최초의 예수회 수사 가이오, 1624년
제53장. 조선인 첫 천주교 신자, 복자 권 비센테, 1626년
제54장. 복자 아카시 지에몬 카요와 부인 마르타, 1627년
제55장. 복자 가스파르 바즈, 부인 마리아와 아들 키에몬 루카, 1627년
제56장. 복자 사토 시네몬 토마스, 1627년
제57장. 운젠(雲仙)의 이사벨, 1629년
제58장. 바다에 던져진 파울로, 1630년
제59장. 아우구스티노회 수사 루이스 하치로(八郞), 1630년
제60장. 요한과 아내 마리아, 1633년
제61장 도미니코회 수사 요한네 요베에(與兵衛), 1633년
제62장. 조선 최초의 가톨릭 수도녀 박 마리나, 1936년
제63장. 마지막 조선인 순교자 토마스, 1643년
* 부록: 임진왜란 전후 조선 관련 천주교 연표

일본 전국시대 지도
국현 대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 박형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 대학원에서 석·박사를 취득했다.
국립의료원 근무 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 주임교수 및 동 부속병원 과장을 역임했으며,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내분비 교실에서 연수했다.
학회 활동으로는 대한골대사학회 회장, 대한폐경학회 회장, 대한근감소증학회 회장, 대한노화방지학회 회장과 대한산부인과학회 내시경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2021년부터는 대한산부인과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현재는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이자 일산 그레이스 여성전문병원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세례명은 프란치스코, 방지거(方薺加)이며 천주교 관련 저서로는 『천주성교. 자책(自責) 스스로 꾸짖음이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