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09 |
구비설화 속 거주공간과 인간욕망
김미숙 저
20,000원
20,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306쪽
2013년 7월 20일
9788949909455
책 소개
거주공간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가문의 영속성을 위해 표출되는 바, 이는 사회적 환경인 당대 사회가 지향하고 있는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나타난 공간의 정서적 반영이다. 이 말은 공간이 가문의 영속성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에 생기는 욕망은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겠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정체성 형성과 풍요로운 삶을 위한 욕망으로 나타나며, 이는 자신이 속한 가문의 번영을 위한 영속성 기여로 귀결된다.

총5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장에서 문제 제기와 연구사를 검토한 후 이 책에서 논의할 거주공간에서 인간의 욕망이 가문의 영속성을 위해 발생되는 구비설화 자료의 범위와 이를 논할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고의 논지를 밝히기 위한 예비적 논의로 공간과 인간이 서로 조응을 맺는 관계라는 점과 인간의 욕망에 대해서 개관하였다. 인간이 접하는 대표적 환경은 공간이다. 인간은 특정한 공간에 애착을 갖고 유대감을 갖는다.

제3장에서는 제1장과 제2장을 토대로 공간의 형태를 알아보고 이 공간에 인간의 욕망이 어떤 양상으로 표출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인간이 특정 공간과 관련을 맺고, 그곳에 욕망을 투사하는 것은 자신보다 가문의 영속성을 위해서라는 논지의 목적을 위해 인간의 대표적 환경인 거주공간을 집과 무덤으로 나누고 이곳에 인간이 표출하는 욕망을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제3장의 분석을 토대로 거주공간과 인간이 상호조응되어 그곳에 욕망을 투사하고, 이를 가문의 영속성으로 영위하는 것이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 시대는 그 시대를 유지하기 위한 문화와 사회관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여기에서 문화란 지식・신앙・신앙・예술・도덕・법률・관습・기타 인간이 사회 성원으로 획득한 능력이나 습성의 복합적 전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 문화는 복합적 전체여서 어떠한 문화 요소를 끌어내어 보아도 그것은 문화 전체의 구조 속에 유기적으로 엉켜 있으며, 가치 개념을 형성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거주공간에 투사한 욕망은 가문의 일원으로서의 존재감으로 인한 것이고, 가문의 일원으로서의 존재인 인간은 가문의 한 부분으로서 기능했다. 가문의 일원으로서 그 구성원들이 해야할 책임과 의무는 가문의 명성을 높이는 것이고, 이를 영속시켜야 하는 것이다.

구비설화에 나타난 공간과 인간의 상호조응성은 인간이 거주공간이라는 특정 공간에 욕망을 품어 이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이었고, 이는 한 개인의 영화가 아닌 가문의 영속성을 위한 차원에서의 원망(願望)이었다.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욕망을 통한 즐거움 성취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여는 글 = 1
Ⅰ. 문제 제기 및 선행연구 검토 = 3
Ⅱ.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 13

제2장 거주공간과 인간욕망 개관 = 19
Ⅰ. 공간과 욕망의 포괄적 개념 = 21
Ⅱ. 거주공간과 인간욕망 개관 = 24

제3장 거주공간에 나타난 인간욕망 = 37
Ⅰ. 집(터) = 42
Ⅱ. 무덤 = 117

제4장 거주공간과 인간욕망에 담긴 사회문화적 함의 = 189
Ⅰ. 당대 사회문화적 배경 = 192
Ⅱ. 거주공간에 나타난 욕망의 사회문화적 의미 = 206

제5장 마치는 글 = 221

참고문헌 = 231
Abstract = 246
찾아보기 = 250
저: 김미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아주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주대, 국제대, 한국방송통신대, 경기대를 거쳐 현재 아주대에서 강의 중이다.

-연구 논문

「수수께끼의 疏通狀況 硏究-民譚에 삽입된 수수께끼를 중심으로」, 「<삼공본풀이>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집’을 중심으로-」, 「설화에 나타난 민중의식-최치원 설화를 중심으로-」, 「입사식 원형으로서의 버림/버려짐 모티프와 상자 모티프-<궤네깃당본풀이>를 중심으로-」, 「설화에 나타난 이주(移住)와 역(逆)이주」, 「구비설화에 나타난 공간과 인간의 관련성 연구」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