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천주교인들 어떻게 살았을까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 1
김정숙 저
18,000원
18,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152*224mm(A5신)
370쪽
2015년 12월 1일
9788949911632
책 소개
함께 쓰는 대구대교구의 역사, 조각을 모아 역사의 장으로
박해를 이겨내고 믿음을 지켜온 대구 사람들! 다종교, 물질문명,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교회를 쌓아올렸다. 그 천주교 신자들의 눈으로 이 세상을 보고, 우리 미래를 본다.
2011년 대구대교구는 교구설정 백주년을 맞았다. 이 책은 대구대교구 백주년을 기념하고 박해와 탄압을 뚫고 우뚝선 대구대교구의 백년 역사를 사진자료와 함께 일반인을 위해 재미있게 설명하고 있다.
월간 『빛』에 연재되었던 글과 다른 매체를 통해 발표했던 글들을 모아 수정 보완하고 관련 있는 글을 연결하여 시간별・분야별로 체계를 맞추었다. 개별적으로 집필되었던 글을 역사 안에서 상호 연관성이나 배경, 영향 등을 종합하고 분류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한국 천주교회의 역사’ 제1집으로 『대구 천주교인들 어떻게 살았을까』가 탄생했다.

역사학이란 시간을 이해하는 학문이다. 시간 속에서 변화를 인식하고, 그 맥락 위에서 일정 시점의 모습을 형상화한다. 우리는 그 과정 중에서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함을 깨닫게 된다. 시간 앞에서는 정의가 살아있다는 사실을 믿게 된다. 그렇게 역사는 시간을 통해 섭리를 알아듣는 학문이다. 물론 역사 속 정의가 즉시 드러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가는 그 시간이 정의를 드러냄을 믿고 그것을 준비해 두는 사람이다. 때로 숨은 정의의 시간을 당겨줄 수도 있다.
시간은 역사가에게 부여된 최대의 선물이다.
목차
머리말

제1장 대구대교구의 성립과 발전
<시대배경>
과거, 현재에 말걸다
1. 하나가 만이 되어도, 처음과 같이
2. 대교구 승격 50년
3. 성당스타일 - 우리의 예술
4. 계산성당 십자가와 또 다른 100년

성소의 못자리
5. 풋풋한 사제 성소 - 대구대교구의 소신학교 운영
6. 성유스티노 신학교 예비과의 역할
7. 성유스티노신학교 기념관

드망즈 주교와의 대화
8. 성모동굴에 스며든 마음
9. 주교관과 포도밭
10. 드망즈 주교와 주름상자식 사진기
11. 드망즈 주교가 느낀 교회, 보이고 싶은 교회

들어오는 선교, 나가는 선교
12. 최덕홍 요한(1902~1954) 주교의 초대
13. 군종신부와 대구대교구
14. 한국인, 철강을 늘려 공간을 만들다
15. 원산에서 대구로 온 수녀아줌마들
16. 지구의 반바퀴를 돌아 봉쇄로 들어간 수녀들
17. 네 곳의 봉쇄수도원을 살은 예수의 데레사 수녀
18. “내가 네가 되었구나”

제2장 천주교 신자들의 신앙생활
<시대배경>
신자 되기, 신자로 살기
1. 본명, 또하나의 이름
2. 운율이 있는 교리문답
3. 성체성사의 기억
4. 매괴성월과 묵주의 기적
5. 전교회장의 길

신자들의 일상생활
6. 첨례표와 신앙인들의 시간세계
7. 예수님을 위한 배고픔
8. 1907년 사순절, 천주교회 국채보상운동에 뛰어들다
9. “판공성사 보셨나요?”
10. 평신도 협의회의 “찬미예수” 인사운동

산 이와 죽은 이의 만남
11. 영정미사와 평생회원
12. 산 이와 죽은 이의 만남 - 1929년 감천리 신자묘지 시작
13. 죽은 이를 위한 기도와 천주교식 장례

변화를 딛고, 변화를 바라며
14. 성당의 남녀 가름벽
15. 신자들의 미사보와 수녀들의 꼬르넷
16. 교회, 비용을 어떻게 마련해 왔나?-1931년 조선주교회의 교무금을 의무화하다
17. 신자들의 기적
저: 김정숙
김정숙은 1987년부터 영남대학교에서 한국의 고대사, 문화사, 여성사 등에 관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2015년부터 학과 통폐합으로 역사학과 교수이다.
교회사 방면의 연구활동으로는 영남교회사연구소 간사로 「영남교회사연구월보」를 간행했고, 대구대교구 100년사 편찬위원으로 공동작업을 했다. 현재는 영남교회사연구소, 대구대교구 시복시성위원회, 수원교구 시복시성위원회 위원이고, 『교회와 역사』 편집이사이다.
한국교회사에 관한 연구업적으로는 『리델문서1』(공역), 『여성, 천주교와 만나다』 등 공저 7권, 「조선후기 서학수용과 여성관의 변화」, 「상주물미 교우촌 회장의 인적맥락과 구성」 등 논문 30여 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