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40 |
울릉도・독도・간도에 대한 일본의 인식
장영숙張暎淑 저
20,000원
20,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208쪽
2017년 2월 28일
9788949942582
책 소개
일본이 독도에 끊임없는 관심과 욕심을 보인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우리에게는 이미 1세기도 지난 과거 대한제국 정부 당시 “울릉도를 울도로 개칭하고, 군수는 울릉전도 외에 죽도 및 석도를 관할한다”는 칙령을 통해 독도가 한국령임을 명확히 한 역사가 있다. 시기를 훌쩍 거슬러 올라가보면 󰡔세종실록지리지󰡕를 비롯해 수많은 역사책과 지도를 통해서도 독도를 표기하고 기록해온 살아있는 역사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일본정부는 1905년의 각의결정을 통해 독도를 일본 시마네현(島根縣)에 편입시킨 후, 오늘날까지 그들의 영토임을 끈질기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제국이 ‘죽도’ 및 ‘석도’라는 이름으로 독도에 대한 영토주권을 선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자국의 영토 속에 편입시킨 논리는 독도가 ‘주인 없는 섬’이라는 데에 있었다. 즉 독도는 무주지(無主地)이기 때문에 먼저 선점하는 측이 자국영토로 삼을 수 있다는 논리였다. 그런데 이는 대한제국이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탈을 받는 속에서 정국이 어지러운 가운데 불법적으로 행해진 조치였다. 따라서 일본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남의 영토를 힘으로 강탈한 것임을 그들 스스로 대내외에 천명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일본도 그러한 점을 인식했는지 새롭게 주장하며 들고 나온 것이 고유영토론이다. 독도는 원래부터 그들의 고유영토였다는 것이다. 조선 초기 피역민들의 근거지가 되었기에 울릉도와 독도를 비워두는 공도정책(空島政策)을 추진했던 한국의 지난 역사를 빌미로 삼은 것이다. 공도정책을 추진한 사실만 보더라도 독도는 애당초 한국이 소유하고 관리한 영토가 아니었다는 억지논리를 펴고 있는 셈이다.

일본의 주장대로라면 정부 주요 당국자들뿐만 아니라 일본민들도 역사적으로 독도를 무주지로 인식하고 있었어야 한다. 독도의 시마네현 편입 이후부터는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분명한 주권의식도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일제시기에 일본 정부나 개인이 발간한 역사지리서에서는 오히려 독도를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고 서술한 경우가 많이 있다. 혹 일본의 영토로 서술한 경우도 간혹 있다. 이 경우는 한일병합과 동시에 새롭게 자국의 영토로 편입되어 들어온 독도를 비로소 신영토의 범위 안에 두고 이해한 것이다. 따라서 일본정부는 물론 민간에서까지도 정부 스스로 세운 정책과 고시(告示)와는 달리 독도가 일본영토라는 생각은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조선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일본의 독도 무주지 선언과 시마네현으로의 편입과정은 이웃국가의 영토를 불법적으로 점유하려는, 고의적이고 악의적인 행동의 시초였다. 이들의 타국 영토 편입 방책은 애초부터 남의 영토일지라도 우선 일본민을 이식하고, 그에 따른 시설을 설치하면서 조용히, 야금야금 그들의 영토로 만들어 간다는 계획 하에 실시되었다. 저들은 일방적인 독도편입과 영유권 주장이 성공한다면 그 발판 위에서 울릉도까지도 그들 영토로 만들어 가려고 은밀히 강구하고 있었다.

압록강과 두만강 너머의 간도 역시 군사적,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지로서 일본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린 곳이다. 간도는 세도정치의 학정과 수탈에 견디다 못한 조선의 농민들이 19세기 중반부터 건너가서 주인 없는 황무지를 생명의 땅으로 개척하고 일궈낸 곳이었다. 이러한 지역에 일본이 개입하여 중국으로부터 더 큰 이익을 약속받는 ‘간도협약’을 통해 영토에 대한 우리의 권리를 송두리째 넘겨버렸던 것이다.

이 책은 독도와 울릉도, 나아가 간도에 이르기까지 일본이 끊임없이 국익을 창출해 내기 위해 정책과 논리를 개발해 나갔던 부분에 초점을 두고 연구한 세 편의 글을 묶은 것이다. 첫 번째 논문인 「대한제국기 일본의 울릉도 자원침탈에 따른 대응과 인식」에서는 대한제국기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정책과 관리를 포함하여 이 시기 민중들의 울릉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영토에 대한 인식에는 정부와 관료층의 인식은 물론, 파원관료에 대한 도민들의 시각을 비롯하여 자원을 침탈하는 일본인들에 대해 언론에 반영된 민중들의 인식도 포함된다. 울릉도와 독도해역의 자원을 매개로 살았던 도민들의 생활실태와 영토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드러낼 때에 불법 침탈자로서의 일본의 위상도 극명하게 대비될 수 있다. 역사 속에서 일인들이 어떻게 존재했으며, 대한제국의 민중들과 어떠한 관계망 속에 놓여있었는가가 드러날 때 독도를 둘러싼 영유권 문제도 간접적으로 밝혀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유의미한 주제이다.

두 번째 글인 「일제시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울릉도 및 독도 인식」에서는 일제시기를 거치며 발행되었던 역사지리서를 분석하여 보았다. 이 시기에 일본이 한국의 역사지리서를 적극적으로 발간한 목적은 한국이 일본의 보호국과 식민지가 된 것을 기념하고, 새로 편입된 신영토로서 한국의 지리와 역사를 일본민들에게 널리 알리고 교육시킬 목적에서였다. 또한 한국의 제반 지지를 탐색하여 다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현실적인 필요에서 책을 간행하였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한국령인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었다. 때문에 두 개의 섬을 분명하게 구분하지 못한 채 혼동하고 있었다. 즉 울릉도는 송도로, 독도는 죽도로 명명하다가 울릉도를 송도, 울도, 죽도라고도 하고 독도를 송도라 하는 등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도서로 여기면서도 뚜렷하게 명칭을 구분하지는 못하였다. 이처럼 두 개의 섬을 확실하게 구분 짓지 못했다는 것은 독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결여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스스로 독도와는 관련이 없다는 관념 속에 젖어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동시에 영토에 대한 주권의식 역시 가지고 있지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역사지리서의 분석을 통해서는 이러한 점을 최대한 드러내려고 하였다.

세 번째 연구인 「일제시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間島 인식」에서는 일제시기 출간된 역사지리서를 통해 일본이 간도문제에 대해 가진 시각과 인식이 시기별로 변화해간 점을 살펴보았다. 일본은 처음에는 간도를 당연히 중국에 속하는 땅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외교권 강탈 후 간도 한민의 보호라는 명목 하에 간도에 진출하여 간도영유권 문제를 조사하면서는 한청 양국 모두에 논리적인 합당함이 있다고 보았다. 이때부터 일본은 간도를 간광지대, 무인지대, 중립지대 등으로 간주하였다.

일본이 한국에 대한 보호권을 갖게 되고 간도에 진출한 이후에는 국익차원에서, 그들의 명분을 합리화하기 위해서 간도는 한국의 영토라는 것이 전제될 필요가 있었다. 더구나 간도는 태조 이성계 이후 역사상 한국의 고토로 존재해 왔다. 한국은 간도관리사를 파견해 간도민들을 자국민으로 관리하고도 있었다. 때문에 일본이 보기에 간도는 역사적으로나 국제법적으로 한국의 영토라는 시각이 오히려 타당해 보였다.

중국이 간도에 대해 절대 양보하지 않자 일본은 시급한 현안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중국의 간도영토권을 인정해 주는 것이 득책이라고 판단하였다. ‘간도협약’으로 일본이 차지한 경제적 이득은 많았다. 그런데 그들 스스로 한국영토로 인정했던 간도영토권을 중국에 넘긴 사실이 알려지게 되면 국가이미지는 실추할 수 있었다. 때문에 일본은 간도를 둘러싼 한중 영토분쟁과 이에 개입하게 된 경위 등에 대해 자신을 합리화하고 정당화할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하여 국민들에게 알릴 필요가 있었다.

이에 스스로를 동북아의 분쟁을 해결한 ‘평화의 중재자’ 내지 ‘평화의 수호자’로서 사실을 왜곡하는 논리를 만들어 내었다. 이어서 역사지리서에도 반영하여 서술함으로써 국가이미지 창출의 기제로 활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간도협약’을 통해 차지하게 된 이익은 소략한 채 한중간의 갈등을 봉합하고 평화를 안착시킨 평화의 주인공, 중재자, 수호자로 스스로를 분식(粉飾)하였다. 특히 한중일 삼국의 감정과 이해가 교차되는 간도지역의 역사를 서술하면서 침략국가로서의 이미지를 탈각하기 위한 수사(修辭)로만 일관하였다. 이는 현안의 독도문제 외에도 일본이 저지른 또 하나의 역사왜곡이었음이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났다.

세 편의 글에서는 울릉도와 독도를 비롯한 간도의 소유권에 대해 일본정부가 역사를 왜곡, 전유하는 방식으로 억지논리를 개발하고 이를 확대하여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국민들을 세뇌시켜 나가는 과정을 최대한 보여주려 하였다. 이를 통해 독도를 일본 영토라고 주장하는 저들의 역사왜곡이 역사적으로 얼마나 허황된 토대 위에서 사실성과 설득력을 결여한 채 이어져 온 것인가 하는 점을 알 수 있다. 국가가 앞장서서 만든 견강부회식 정책과 논리를 국민들에게 홍보하고, 교육을 통해 확대재생산하는 구조 속에서 국민의 의식조차도 개변시켜 나가고자 했던 일본의 민낯도 볼 수 있다.

마지막 장에는 논문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일제시기 간행된 역사지리서들의 해제를 실었다. 주로 1905년부터 1945년 사이에 출판된 책들이다.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 일본의 국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간도 및 독도와 울릉도에 관련된 제반 도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해제는 일본의 영토 인식과 영토 정책에 대해 관심 있는 여러 사람들에게 원전을 찾아보지 않고도 필요한 원전의 내용을 어느 정도 헤아릴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이 해제를 비롯해 책자에 실린 몇 편의 글이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는 지역을 비롯한 변경지에 대한 인식의 변천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목차
■ 책머리에 _ 울릉도・독도・간도에 대한 일본의 인식

제1장 대한제국기 일본의 울릉도 자원침탈에 따른 대응과 인식

머리말
1. 대한제국의 울릉도에 대한 정책과 관리
2. 울릉도를 둘러싼 한일간의 갈등과 정부의 대응
3. 울릉도 파견관원의 실상과 도민과의 관계
4. 일본의 세력확대와 자원침탈에 대한 인식
맺음말

제2장 일제시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울릉도 및 독도 인식

1. 머리말
2. 역사지리서의 울릉도 및 독도 서술 실태와 인식
3. 지도상에서의 울릉도 및 독도 표기와 인식
4. 맺음말

제3장 일제시기 역사지리서에 반영된 間島 인식
1. 머리말
2. 간도협약 이전의 간도에 대한 인식
3. 간도협약 이후의 ‘간도문제’ 서술실태와 인식
4. 맺음말-한・중간 평화 중재국으로의 粉飾과 역사왜곡

제4장 일제시기 간행된 역사지리서 목록조사와 자료해제

<범례>
1. 편찬 취지
2. 목록조사 범위와 분류
3. 자료해제
4. 체제

<차례>
1. 문헌목록(연도・저자순)
2. 자료해제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저: 장영숙張暎淑
상명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상명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高宗의 대외인식 전환과정 연구」로 석사학위를, 「高宗의 정치사상과 정치개혁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과 한양대 동아시아문화연구소 박사후연구원(Post- doc.), 연구교수를 거쳐 현재 상명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한국근현대인물강의>(공저, 2007)
<고종의 정치사상과 정치개혁론>(2010)
<고종 44년의 비원>(2010)
<현실주의자를 위한 변명>(공저, 2013)

<논문>
「대한제국기 고종의 정치사상연구」(2009)
「<內下冊子目錄>을 통해 본 고종의 개화관련서적 수집실상과 영향」(2009)
「고종정권하 여흥민문의 정치적 성장과 내적 균열」(2010)
「<集玉齋 書目> 분석을 통해 본 고종의 개화서적 수집실상과 활용」(2012)
「뎨국신문(帝國新聞)의 성격과 자료적 가치」(2014)
「메이지 유신 이후 천황제와 大韓國國制의 비교-전제군주권적 측면에서」(2015)
「성찰, 화해, 포용의 동아시아사를 위해」(2016)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