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41 |
[2018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고려시대 상주계수관 연구
한기문韓基汶 저
32,000원
32,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428쪽
2017년 3월 30일
9788949942704
책 소개
본서 구상의 출발은 필자가 1992년 상주대에서 연구 생활을 시작하면서였다. 한적한 상주에 대한 첫 인상은 전통시기 대읍으로서 그 殘光이 문화유적으로 다가왔다. 兩廡가 있는 鄕校, 웅장한 객사, 도심에서 발견된 석불상, 장백사지의 장대한 석탑 옥개석 편 등이었다. 또한 상주지역민의 사용 어투도 충청도 언어와 유사한 것으로 “~여”로 말 끝을 맺는다. 고려시기 상주가 영속한 행정단위가 충청도 5개 군현이 포함된 계수관의 殘影이었다. 지리지와 읍지 자료에서도 상주가 역시 대읍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현지 연구자와 일반인들의 관심은 도시개발에 따라 고고자료가 출현하는 고대의 상주사와 전적자료, 그리고 문중 인맥이 현재까지 연결된 조선 및 근대시기 상주지역사에 집중하였고 이에 따라 고유신앙과 유교사상에 주목하였다. 학계의 지역사 연구도 이러한 경향성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고려시기 상주의 실체를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고대사와 조선・근대시기에 편중되어 고립적으로 지역사를 이해하는 것을 불교 사원지와 상주 界首官制度를 참구하면서 고려시대를 포함하여 상주사를 계기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문헌 자료로서 李奎報가 상주지역을 여행한 일련의 기행시 「남유시」와 향교에 보관된 김지남 본 󰡔경상도영주제명기󰡕를 검토해 본 결과 상주계수관의 존재를 보다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본서는 고려시기 상주계수관의 현황을 정리하여 그 시기 지방제도 운영 특색을 이해하려고 준비하였다. 상주계수관은 界內 首官으로서 상주와 그 수관이 거느린 영군현을 포함한 영역으로서 상주라는 이중의 의미를 지닌다.

상주계수관은 신라시기 광역주를 보다 세분하여 영속 군현을 정리하였지만 지역 문화의 다양성을 담보하고 상주를 수관으로 삼는 지역을 광역으로 종합한 제도적 틀이었다. 고려 지방사회의 다원성과 거점성을 이해하는 하나의 사례로서 상주의 제반 현황을 상주지역의 시각으로 정리할 필요를 느꼈다.

본서를 준비하는 데에 여러분의 도움이 있었다. 2012년도 한국연구재단의 저술지원에 선정되도록 심사・논평해 주신 위원들께 깊이 감사한다. 상주에 대한 관심을 지속할 수 있도록 상주지역을 찾아와 함께 답사하면서 조언 해준 한국중세사학회 회원들께 고마움을 전한다. 지역의 향토사가 여러분의 자세한 답사 안내가 없었다면 연구가 진행될 수 없었다. 필자가 국립대 통합에 따라 2008년 경북대 사학과로 전입하여 연구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학과 교수님들께 고마움을 표한다. 교정 작업에 도움을 준 대학원생들에게도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시장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미시 지방 중세사 서적을 아담한 책으로 만들어 주신 경인문화사 여러분의 노고에도 깊이 감사한다.
목차
책머리에

서 론

제1장 상주 치소의 성립과 구조
제1절 상주 관사의 성립
1. 관아 입지의 변천
2. 관아 시설 구성과 위상
제2절 상주 읍사의 구성과 재지세력 동향
1. 읍사의 성립과 변천
2. 상주 호장층과 재지세력의 존재
3. 재지세력의 유동
제3절 상주 자복사와 그 기능
1. 상주 자복사의 존재
2. 상주 자복사의 기능과 운영
3. 상주 자복사의 위상

제2장 상주계수관의 영역과 운영
제1절 상주계수관의 연혁과 영속 및 범위
1. 상주계수관의 성립과 변천
2. 상주계수관 영속 군현의 형세
3. 상주계수관 부곡제의 분포와 존재양상
4. 상주계수관내 교통로의 구성과 성격
5. 상주계수관의 범위 인식
제2절 상주 역대 계수관원과 활동
1. 상주계수관원의 성립과 구성
2. 상주계수관원의 활동과 명단복원
3. 상주계수관원의 활동으로 본 계수관 성격
제3절 경상도 안찰사와 상주계수관
1. <경상도영주제명기> 자료의 검토
2. 경상도 안찰사 파견과 상주계수관

제3장 상주계수관의 문화
제1절 나말려초 상주지역 선종산문의 동향과 성격
1. 신라말 상주지역 산문의 동향
2. 고려초 상주지역 산문의 경향
3. 나말려초 상주지역 산문의 성격
제2절 상주계수관내 사원의 분포 양상과 성격
1. 상주계수관내 사원의 분포 양상
2. 상주계수관내 사원의 성격
제3절 이규보의 남유시로 본 상주계수관의 현황
1. 이규보와 남유시
2. 남유시에 나타난 상주목
제4절 고려 문인들의 시문과 상주계수관에 대한 인상
1. 문인과 상주계수관 관련 시문
2. 시문에 보이는 상주계수관 인상

결 론

영문요약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 한기문韓基汶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고려사원의 구조와 기능>(민족사, 1998), <일연과 삼국유사>(공저, 신서원, 2007), <고려시대 율령의 복원과 정리>(공저, 경인문화사, 2009) 등이 있고, 고려 불교사를 연구한 논문이 다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