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25 |
동아시아세계 속의 일본율령국가 연구 百濟王氏를 중심으로
송완범 저
22,000원
22,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308쪽
2020년 12월 11일
9788949949284
책 소개
일본율령국가의 성립과 백제왕씨의 관계성

본서는 7세기 후반 한반도에서 사라진 백제의 왕족이 일본으로 건너가 백제왕씨라는 이름으로 일본율령국가에서 활동한 기록을 바탕으로, 백제왕씨와 일본율령국가의 성립과 전개 변화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총3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1부에서 백제왕자 풍장의 동향을 중심으로 7세기 백제와 왜의 관계를 설명하고 백촌강의 싸움 이후 동아시아의 정세변화를 통해 백제왕씨의 성립의 역사적 배경을 검토하였다. 2부에서는 집단으로서의 백제왕씨가 일본율령국가에 있어서 담당한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았고 3부에서는 백제왕씨의 위상 변화와 일본율령국가의 전환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본다.
고대일본국가의 완성이라 불리어지는 일본율령국가의 성립과정에 백제왕씨는 어떤 역할을 했는가를 봄으로써 일국사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세계관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목차
책을 내면서4
서 장13

제1부 일본율령국가의 성립과 백제왕씨

서 언21
제1장 7세기의 왜국과 백제 – 백제왕자 풍장의 동향을 중심으로 –23
서. 풍장은 누구인가23
제1절 풍장기사의 재검토24
제2절 풍장의 내왜 —왜왕권의 대외관계와 관련하여—35
제3절 풍장의 귀국 —왜국과 백제부흥군의 시점에서—40
결. 풍장의 의의44
제2장 ‘백촌강 싸움’과 왜 – 동아시아 신체제의 재편과 관련하여 –46
서. 백촌강싸움은 무엇인가46
제1절 백촌강싸움에의 도정48
제2절 백촌강싸움53
제3절 백촌강 이후의 동아시아신체제와 왜63
결. 동아시아신체제의 개편69
제3장 동아시아에서의 율령국가 성립의 의의
– 「백제왕씨」를 중심 소재로 하여 –71
서. 백제왕씨는 누구인가71
제1절 백제멸망전후의 「백제왕」72
제2절 「백제왕」에서 「백제왕씨」로75
제3절 율령 국가 성립의 의의 — 백제왕씨 성립의 의의 —85
결. 백제왕씨의 존재 의의87
부론; 금석문「甲午年銘法隆寺金銅観音造像記銅版」으로 보는 백제왕씨88
보론1; ‘壬申의 난’과 日本 – 동아시아세계의 재편과 관련하여 –94
서. 임신의 난은 무엇인가94
제1절 7세기 중엽의 혼돈과 왜의 선택96
제2절 ‘임신의 난’의 전야(663~672년)97
제3절 672년의 ‘임신의 난’101
결. ‘임신의 난’의 의미106
1부 결 론109

제2부 일본율령국가의 전개와 백제왕씨

서 언113
제1장 나라(奈良)시대의 백제왕씨115
서. 8C의 백제왕씨115
제1절 백제왕씨의 일본적 전개116
제2절 성무천황과 백제왕씨 —백제왕경복을 중심으로—121
제3절 藤原仲麻呂정권과 백제왕씨131
제4절 백제왕씨의 위치144
결. 나라시대의 백제왕씨152
제2장 일본율령국가의 개・사성정책에 대하여
– 오위(五位)이상 귀족관인의 승진형태를 중심으로 –154
서. 반도유민의 존재154
제1절 「유민」 후예의 개사성기사의 검토155
제2절 「백제」성의 사람들165
제3절 「고려」성의 사람들171
제4절 백제왕씨와 고려성과의 비교181
결. 백제와 고구려의 유민184
보론2; 고대일본의 都市와 移動의 문제 – 천궁(遷宮)과 천경(遷京) –185
서. 고대도시185
제1절 궁도와 궁・경186
제2절 천궁과 천경의 사정187
제3절 고대일본의 도시와 이동195
결. 이동도시와 고정도시198
2부 결 론 200

제3부 일본율령국가의 전환과 백제왕씨

서 언205
제1장 환무천황과 백제왕씨206
서. 헤이안시대의 백제왕씨206
제1절 환무천황의 혈연적 계보 —구 백제계씨족의 후견으로서의 백제왕씨—207
제2절 환무천황과 가타노(交野) 행행218
제3절 백제왕씨의 위치233
결. 변화하는 백제왕씨238
제2장 일본율령국가의 전환과 백제왕씨의 종언240
서. 환무 이후의 백제왕씨240
제1절 평안초기의 백제왕씨 —차아~인명조를 중심으로—240
제2절 9세기의 전환과 백제왕씨의 종언249
결. 율령국가의 전환과 백제왕씨265
보론3; ‘육국사(六國史)’의 편찬과 ‘일본율령국가’의 수사(修史)사업
– 『속일본기』와 『일본삼대실록』을 중심으로 –266
서. 수사사업이란?266
제1절 율령국가의 운용과 육국사 편찬268
제2절 육국사의 실질적인 시작과 『속일본기』271
제3절 육국사의 종언과 『일본삼대실록』275
결. 수사사업의 중단과 율령국가의 전환281
3부 결 론 282

종 장284
참고문헌288
찾아보기295
저: 송완범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연세대학교대학원사학과 석사과정수료, 일본 東京대학교대학원일본사학과 석·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현재 고려대학교 교수 겸 글로벌일본연구원 부원장,동아시아고대학회 회장, 일본역사문화학회 회장(한국일본학회), 한국일본사상사학회 부회장, 한일관계사학회 편집위원 등.

주요저서
『근현대 지식인을 통해 본 한일관계』, 『현대일본의 사회와 문화』, 『調和的秩序形成の課題』,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東日本大震災と日本』, 『동아시아 속의 한일관계사』, 『고대 동아시아의 재편과 한일관계』, 『동아시아 역사인식의 중층성』, 동아시아세
계의 일본사상』, 『일본의 대외위기론과 팽창의 역사적 구조』 등.

주요역서
『목간에 비친 고대 일본의 서울 헤이조쿄(平城京)』, 『술로 풀어보는 일본사』, 『동일본대지진: 부흥을 위한 인문학적 모색』, 『삼국지의 세계』, 『교양으로 읽는 일본사상사』, 『일본의 고대사 인식』, 『동아시아역사와 일본』 등.

주요논문
「메이지유신과 다이카개신」, 「고·중세일본의 국제전쟁과 동아시아」, 「‘전쟁’과 ‘재난’으로 보는 ‘동아시아안전공동체’」, 「고마(高麗) 군 건군(建郡) 1300년에 즈음한 고마약광(高麗若光)의 의미」, 「융・복합적 日本學으로서의 ‘歷史地震學’-‘災難學’에 대한 제언-」, 「식민지 조선의 黑板勝美와 修史사업의 실상과 허상」,「일본율령국가의 백제군・고려군・신라군에 보이는 교류와 공존」, 「일본국정역사교과서로 보는 ‘민족주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