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의 설날·두레공동체·농악·아리랑
신용하 저
25,000원
25,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314쪽
2021년 10월 29일
9788949949925
책 소개
우리의 민족문화 설날, 두레, 농악, 아리랑

설날, 두레 , 농악, 아리랑 이 네가지의 공통점은 우리 민족문화라는 점이다. 저자의 말을 빌리자면 한 민족의 민족됨은 언어와 민족문화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틀이 지어진다. 이 책은 저자의 한국 민족문화에 대한 글 중 설날·두레·농악·아리랑에 대한 것을 모은 것이다.
한국 민족문화의 언어 표현에서 ‘시작하다’의 뜻 표현을 ‘서다’ ‘세우다’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설날’은 ‘시작하는 날’의 뜻으로 ‘입신세(立新歲)’와 같은 뜻이다. 한국민족문화에서는 이날을 매우 중요하게 여겨 크게 축하하고 전통적으로 독특한 민속이 많이 있음을 간단히 소개한다.
‘두레’는 양반 사대부가의 것이 아닌 기층 민중들의 민속이라 남은 기록들이 많이 없어 자료가 적었으나, 저자의 소년 시절의 농촌에 남아 있던 두레에 관한 기억과 그동안 모은 자료들을 종합하여 1984년 「두레 공동체와 농악의 사회사」라는 학술 논문을 발표했다. 그 후 최홍기 교수의 회갑을 기념하여 쓴 「두레 공동체와 농민문화」는 두레의 공동체적 성격과 농민들의 두레 활동이 다수의 새로운 농민문화를 창조한 측면에 무게중심을 두어 집필하였고, 이 두 개의 논문을 본 책에 수록하였다.
‘아리랑’은 한국인의 대표적인 민요이나 ‘아리랑’이라는 말의 정확한 뜻은 알 수 없었다. 저자는 그 뜻을 밝히는 논설을 ‘새로 쓰는 한국 문화’라는 제목을 일간지에 연재하여 발표했다. 이에 대한 뜻풀이를 좀 더 설명하고 ‘아리랑’이 연가에서 민족가요로 발전하는 사회문화사를 더한 학술논문을 새로 집필하여 본 책에 수록하였다.
목차
책머리말

1장 ‘설’날의 의미와 세시풍속
1. 설날의 의미
2. 설날의 세시풍속(歲時風俗)
3. 추기(追記)

2장 두레와 공동부조의 전통
1. 한국문화의 ‘두레’ 공동체와 공동부조(共同扶助) 양식
2. 두레에 관한 문헌 기록

3장 농악(풍물)의 성립과 발전
1. 농악(풍물)의 기원과 구성
2. 농악(풍물)의 발전
3. 추기(追記)

4장 두레 공동체와 농악의 사회사
1. 머리말
2. 두레의 기원과 변천
3. 두레의 조직
4. 두레의 공동노동
5. 호미모둠과 호미씻이
6. 두레와 농악
7. 두레의 사회적 기능
8. 일제강점기의 두레의 변화
9. 맺음말
5장 두레 공동체와 농민문화
1. 머리말
2. 두레의 공동체적 특성
3. 농기(農旗)와 농기싸움놀이
4. 두레의 농악의 창조
5. 민요(民謠)의 창조
6. 두레장원놀이
7. 호미씻이
8. 농민무용의 창조
9. 지신밟기놀이
10. 마당놀이
11. 머슴날
12. 공동우물치기와 용왕굿
13. 맺음말

6장 ‘아리랑’과 한국인의 사랑
1. 한국인이 사랑하는 ‘아리랑’과 ‘아라리’의 뜻
2. 아리랑과 한국인의 사무친 사랑

7장 민족가요 ‘아리랑’ 변증설(辨證說)
1. 머리말
2. ‘아리랑’의 뜻
3. ‘쓰리랑’의 뜻
4. ‘랑’의 뜻
5. ‘아라리’의 뜻
6. 아리랑 ‘고개’의 뜻
7. ‘아리랑’의 성립 기원
8. 아리랑의 근대의 기록
9. 일제강점기의 ‘아리랑’
10. 해외 민족독립운동의 ‘아리랑’
11. 8·15 광복과 아리랑의 부활개화
12. 아리랑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3.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 신용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석사 사회학박사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학장
한국사회학회 회장
한국사회사학회 회장
독도학회 독도연구보전협회 회장
한양대학교 석좌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
울산대학교 석좌교수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대한민국학술원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