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 5천년 문명사 국가가 공인한 5천년 고고학 자료 해독
유경주 저; 우영란, 황나영 번역 외
40,000원
40,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188*257 46배판
518쪽
2023년 7월 31일
9788949967011
책 소개
무엇 때문에 중국 학자들은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유구한 역사문명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가?

‘중화 5천년 문명사’에 대한 연구에서 고고학을 기초로 다학제와 학제 간 연구를 결합하는 방법을 활용했으며, 우선 고고학과 문헌사학을 결합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이십사사(二十四史)’에는 중국의 5,000년 문명사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 중 특히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및 그중 첫 편인 「오제본기(五帝本紀)」는 5,000년 중화문명의 첫 페이지를 적어놓았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근대 고고학이 중국에 전해왔으며, 고고학은 역사과학의 두 부분(고고학과 문헌사학) 중 하나로 인정받았다. 이로써 중국의 고대 역사, 특히 ‘전설시대’의 역사를 최대한 ‘재편성’했다. 고고학과 역사학 연구는 5,000년간 단절되지 않은 문명사의 ‘기점’을 찾아냈으며 이는 관련 학술연구를 위해 중요한 과학적 기초를 다져놓았다.
목차
서론

제1장 ‘단절 없는 중화 5천년 문명’의 해독
1. ‘문명’의 해독
2. ‘기점’의 해독
1) 역사 문헌 기록
2) 고고학적 발견
3. ‘단절 없는’의 해독
1) 유전자
2) 중화(中華) 성씨의 발견
3) 황제(黃帝)의 제사
4) 사회 주류 문화와 국가 문화
5) 문자의 계승
4. ‘물적 표상’의 해독
1) 도성
2) 능묘
3) 예제 건축(禮制建築) 및 예기(禮器)
4) 문자 - 한자(漢字)
5. 핵심이념: ‘중화(中和)’사상


제2장 도성(都城) 고고학의 발견과 연구
1. 개술(槪述)
1) 도성과 문명의 동반
2) 도성의 구성 요소
3) 고대 도성 발전의 기본 맥락
2. 북경의 고궁(故宮)에서 거슬러 올라가 본 오제(五帝)의 도읍
1) 명청(明淸)의 북경성(北京城)
2) 원(元)의 도성
3) 요(遼), 금(金)의 도성
4) 송(宋)의 동경성(東京城)
5) 수당(隋唐)의 낙양성(洛陽城)
6) 수(隋)의 대흥성(大興城)
7) 당(唐)의 장안성(長安城)
8) 업성(鄴城), 건강성(建康城)
9) 한위(漢魏)의 낙양성(洛陽城)
10) 한(漢)의 장안성(長安城)
11) 진(秦)의 함양성(咸陽城)
12) 동주열국(東周列國)의 도성
13) 서주(西周)의 도성
14) 상(商)의 도성
15) 하(夏)의 도성
16) ‘오제시대(五帝時代)’의 도읍
3. 핵심이념: ‘중(中)’과 ‘화(和)’의 물화(物化) 표현
1) ‘중(中)’의 이념
2) ‘화(和)’의 이념

제3장 제왕 능침(陵寢)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
1. 개술(槪述)
1) 고대 능침(陵寢)의 시각에서 본 문명
2) 능묘의 입지 선정 및 분포, 배열
3) 제왕 능묘의 구성 요소
2. 제왕 능침의 고고학적 발견
1) 청(淸)의 제릉(帝陵)
2) 명(明)의 제릉(帝陵)
3) 요(遼)·금(金)·서하(西夏)의 제릉(帝陵)
4) 송릉(宋陵)
5) 당(唐)과 오대(五代)의 제릉(帝陵)
6) 위(魏)·진(晉)·남북조(南北朝)의 제릉(帝陵)
7) 동한(東漢)의 제릉(帝陵)
8) 서한(西漢)의 제릉(帝陵)
9) 진시황릉(秦始皇陵)
10)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의 왕릉
11) 서주(西周)의 왕릉
12) 은허(殷墟)의 왕릉
3. ‘능묘약도읍(陵墓若都邑)’의 해석

제4장 예제 건축(禮制建築), 예기(禮器) 및 문자
1. 예제 건축(禮制建築)의 발전 및 연속
1) 종묘와 사직: ‘우궁좌묘(右宮左廟)’에서  ‘좌조우사(左祖右社)’의연습(沿襲)과 발전
2) 명당(明堂)·벽옹(辟雍)·영대(靈臺)· 태학(국자학, 국자감)
3) 천단(天壇), 지단(地壇)
4) 제왕묘(帝王廟)
2. 예기(禮器)
1) 청동예기(靑銅禮器)
2) 옥예기(玉禮器)
3. 문자
1) 문자와 문명의 형성
2) 5천년간 일맥상통한 ‘한자(漢子)’
3) 일맥상통한 한자(漢子) 역사 문헌
4) 다민족 통일국가와 중화 5천년 문명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어온 한자

제5장 ‘중화(中和)’의 이념과 국가 정체성
1. ‘중화(中和)’ 이념의 물적 표상물 : 도성과 능묘
2. 가국일체(家國一體)와 국가 정체성
1) 가국일체(家國一體)
2) 국가 정체성

후기
저: 유경주
북경대학교 사학과에서 고고학을 전공하고 정주(鄭州)대학교 역사학원 원장, 중국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소장, 중원(中原) 역사문화연구원 원장, 중화 염황(炎黃)문화 연구회 학술위원회 주임 등을 역임했다. 관련 저서로는 『고대 도성과 제릉 고고학연구(古代都城與帝陵考古學硏究)』, 『중국고대도성의 고고학 발견과 연구(中國古代都城考古發現與硏究)』, 『장안 춘추(長安春秋)』, 『서한 11릉(西漢十一陵)』등이 있으며 「중국 고대도성 유적분포 형제(形制)의 고고학적 발견이 반영하는 사회형태의 변화에 대한 연구(中國古代都城遺址布局形制的考古發現所反映的社會形態變化硏究)」, 「고고학시각하의 마르크스주의 유물사관(考古學視閾下的馬克思主義唯物史觀)」 등 논문이 있다.
번역: 우영란
연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사학과에서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했으며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연태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중 문화유산 관광자원 관리 체계 비교 연구』, 『중한・중조 관계사』 등이 있다.
번역: 황나영
중앙민족대학교 조선언어문학학과를 졸업하고 한국 서울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중앙민족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연태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역: 조영광
경북대학교 사학과에서 한국사를 전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전남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 연구 분야는 한국고대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