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국대 사료총서 2 |
보시, 티베트와 몽골을 잇다 티베트 승려에 대한 몽골 황실의 보시 연구
이승호(李丞鎬), 이완석(李琓碩), 方國花(FANG GUOHUA) 저 외
28,000원
28,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88*257 46배판
348쪽
2022년 2월 28일
9788949966205
책 소개
중요한 단서인 보시를 통해 알아보는
몽골제국 시기 몽골과 티베트의 관계!

1276년 쿠빌라이가 남송까지 손에 넣으면서 몽골제국은 명실 공히 역사상 최대의 육상 제국이 되었다. 몽골 황실 성원들은 티베트 불교 승려들에게 여러 명목으로 보시를 받쳤다. 그런데 원(元)의 한인(漢人) 학자들은 이는 재화의 잘못된 쓰임이라고 비판하였다. 몽골 지배층이 티베트 불교에 대해 행한 보시가 상당한 액수였을 것임이 분명한데 그럼에도 몽골과 티베트 불교 상층 사이에 오간 보시 물품과 양은 물론 그 재화가 티베트에서 어떻게 쓰였는지에 대하여는 밝혀진 것이 거의 없다. 이러한 이유로는 원대 한인 관료나 학자들이 몽골 지배층과 티베트 승려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알기 어려웠던 점과 알았다고 해도 기록에 남기지 않아 한문 사료에 기록이 없는 것과 티베트 저작들의 경우에 물품 보시와 같은 세속적인 일을 거의 기록에 남기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문제를 밝히는 것이 몽골제국 시기 몽골-티베트 관계의 일면을 밝히는 데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임이 분명하여, 본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고, 문제의 해결을 위해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티베트 저작들을 기본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이번 사료총서 시리즈는 한국 역사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동유라시아 물품 사료를 수집・번역하고 있다. 본서는 원대 티베트 사료의 기록 그것도 ‘보시 물품’이라는 한 가지 주제에 대한 티베트 기록을 모아 한권으로 발간되었음에 큰 의미가 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와일리(wylie) 전사 외에 텍스트 원문 사진도 그대로 실었다.
목차
발간사
머리말

1부 한국
1. 「천평(天平) 10년(738) 스오국정세장[周防國正稅帳]」에 기재된 탐라방포(耽羅方脯)
2. 「천평(天平) 17년(745) 헤이조큐[平城宮] 목간」에 기재된 탐라복(耽羅鰒)
3. 쇼소인[正倉院] 소장 신라 색전(色氈)・화전(花氈)과 전첩포기(氈貼布記)
4. 「매신라물해(買新羅物解)」에 기재된 신라의 대일 교역 물품
5. 헤이조큐[平城宮] 출토 「맥인급미(貊人給米)」・「초피(貂皮)」 목간
6. 쇼소인[正倉院] 소장 사하리[佐波理] 가반(加盤)과 부속 문서
7. 「신라촌락문서(新羅村落文書)」에 보이는 물품과 촌락 사회
8-1. 기타 쇼소인[正倉院] 소장품으로 본 고대 한일 교류
8-2. 기타 쇼소인[正倉院] 소장품으로 본 고대 한일 교류



2부 중국(실크로드)
1. 전량(前涼) 승평(升平) 11년(367) 왕념(王念)이 낙타를 판매한 계약문서[券]
2. 피장자・연대 미상 무덤의 의물소(衣物疏) 2건
3. 서량(西涼) 건초(建初) 14년(418) 한거(韓渠) 처 무덤의 의물소(衣物疏)
4. 북량(北涼) 시기 피장자・연대 미상 무덤의 의물소(衣物疏)
5. 북량(北涼) 승평(承平) 8년(450) 적소원(翟紹遠)이 비(婢)를 구매한 계약문서[買婢券]
6. 고창(高昌) 장화(章和) 18년(548) 광비(光妃)의 의물소(衣物疏)
7. 고창(高昌) 연창(延昌) 36년(576) 송씨(宋氏) 아무개의 하전권(夏田券)
8. 고창(高昌) 오세(午歲) 무성제인(武城諸人)의 조사미(趙沙彌)를 고용하여 양(羊)을 방목하는 계약문서[契]
9. 고창(高昌) 연창(延昌) 27년(587) 4월 병부(兵部)에서 말을 구매하는 데 쓴 돈과 마리 수[買馬用錢頭數]를 보고하는 상주 문서[奏行文書]
10. 고창(高昌) 연창(延昌) 28년(588) 도인(道人) 아무개가 □백숭(□伯崇)의 대추 과수원을 임대한 계약문서[夏棗樹券]
11. 고창(高昌) 지역 사원[某寺]의 포도원(葡萄園) 임대 계약문서[券]
12. 의방(醫方)
13. 고창(高昌) 연화(延和) 3년(604) 피장자 미상 무덤의 의물소(衣物疏)
14. 고창(高昌) 중광(重光) 원년(620) 피장자 미상 무덤의 의물소(衣物疏)
15. 고창(高昌) 중광(重光) 4년(623) 맹아양(孟阿養)의 채원 임대 계약문서[夏菜園券]
16. 고창(高昌) 연수(延壽) 원년(624) 장사(張寺) 주지 명진(明真)의 양 방목 고용 계약문서[雇人放羊券]
17. 고창(高昌) 연수(延壽) 9년(632) 범아료(范阿僚)의 전을 빌려 첨장을 만드는 계약문서[擧錢作醬券]
18. 고창(高昌) 성명 미상 여인[女] 무덤의 의물소(衣物疏)
19. 당인(唐人)의 해수(咳嗽) 등 질병 치료법을 적어 놓은 약방(藥方)
20. 잔고의방(殘古醫方)
21. 고사본의방(古寫本醫方) 1(一)
22. 당(唐) 개원(開元) 21년(733) 석염전(石染典)의 노새 계약문서[買䮫契]
23. 급황(急黃)을 다스리는 의방(醫方)

3부 일본
1. 아스카이케[飛鳥池] 유적 출토 목간에 보이는 물품
2. 후지와라궁[藤原宮] 목간에 보이는 고대 물품
3. 후지와라경[藤原京] 목간에 보이는 고대 물품
4. 헤이조궁[平城宮] 터 목간에 보이는 물품
5. 나가야오케[長屋王家] 목간에 보이는 물품
6. 니조오지[二條大路] 목간에 보이는 물품
7. 쇼소인[正倉院] 소장 안료(顔料) 청구서
8. 쇼소인[正倉院] 소장 정의(浄衣) 및 붓[筆] 청구 문서
9. 쇼소인[正倉院] 소장 쌀 등 진상장
10.‌쇼소인[正倉院] 소장 금속재료 서신 왕래 문서
11.‌쇼소인[正倉院] 소장 옻 구매용 돈 청구서
12. 쇼소인[正倉院] 소장 가마 등 잡물 청구서
13. 쇼소인[正倉院] 소장 조미료 등 청구서 및 이에 대한 답서
14. 쇼소인[正倉院] 소장 일꾼 파견 및 나무 재료 운반에 관한 명령 문서
15. 쇼소인[正倉院] 소장 금청(金青) 청구 문서
16. 쇼소인[正倉院] 소장 교역미(交易米) 관련 문서
17. 쇼소인[正倉院] 소장 칠기환(七氣丸) 등 청구서

부록: 일본 고대 목간 및 고문서 DB 현황과 자료에 대한 접근
참고문헌
색인
저: 이승호(李丞鎬)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대표 논저
(공저) 『한국 고대사와 사이비역사학』(역사비평사, 2017)
「부여의 국가구조와 四出道」(『한국고대사연구』 96, 2019)
「1~3세기 중국 동북지역 정세 변화와 貂皮 교역」(『동국사학』 67, 2019)
저: 이완석(李琓碩)
고려대학교 강사

- 대표 논저
(공역) 『천성령 역주』(혜안, 2013)
「唐代 王言 문서의 생산과 유통 -唐 公式令을 중심으로-」(『중국고중세사연구』 48, 2018)
(공역) 『당률소의 역주』(전4권)(경인문화사, 2021)
저: 方國花(FANG GUOHUA)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HK연구교수・나라문화재연구소 객원연구원

- 대표 논저
「고대 동아시아 목간자료를 통해 본 “參”의 이체자와 그 용법」(『목간과 문자』 25, 2020)
「신라・백제 문자문화와 일본 문자문화의 비교연구 -출토문자자료를 중심으로-」(『영남학』 77, 2021)
「부여 부소산성 출토 토기 명문의 검토 -동아시아 문자자료와의 비교-」(『목간과 문자』 26, 2021)
대표편집: 박상현(朴相炫)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