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허전, 조선말 근기실학의 종장
정경주, 김철범 저
34,000원
34,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양장
152*224mm(A5신)
462쪽
2013년 7월 30일
9788949909325
책 소개
성재 허전은 성호 이익을 중심으로 흥기했던 18세기 근기실학파의 학통을 계승해서 19세기 중후반에 걸쳐 근기실학의 학풍을 크게 떨친 학자이다. 그는 『종요록』, 『수전록』, 『사의』 등의 저술을 통해 성호와 순암 안정복, 다산 정약용, 하려 황덕길 등 근기실학파의 경세치용적 학풍을 계승했을 뿐아니라, 수많은 문도들을 문하에 받아들여 이들을 통해 기왕에 수립된 근기실학의 저변을 널리 확산 전파시켰다.

허성재가 살았던 19세기는, 전반기에는 세도정치로 정치권력이 극소수의 특정 권력층에 집중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빌미로 사상 학문의 토론이 극도로 제한된 한편, 만연한 관료의 부정부패로 인한 잇단 민란을 수습하지 못한 채 국가의 기강이 흔들렸고, 후반기에는 밀려드는 해외 열강의 부단한 핍박과 외세와 결탁한 왕실 외척세력과 모리배의 발호로 국가의 존망이 풍전등화같이 위태해진 시기였다. 허성재는 이러한 시기에 관직에 나아가도 실제적인 권한을 위임받은 적이 없었지만, 기회 있는대로 제도의 개혁을 건의하는 한편 군주를 계도함으로써 그 결단을 통하여 국체를 보전하고 국운을 붙들고자 진력했다. 그의 저술과 언행 속에 이러한 그의 포부와 경륜이 반영되어 있다.

필자들은 단성민란으로 촉발된 임술년 삼남민란 직후 허성재가 김해부사로 부임하자 영남의 수많은 사족들이 그의 문하에 모였던 사실에 주목했다. 삼남의 민란은 조선후기 사회경제체제의 중요한 근간이었던 삼정의 문란으로 말미암은 것이었는데, 조선후기 사회・경제・정치・제도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경세치용의 학술로 제도의 개혁과 민생의 안정을 강구해 왔던 근기실학파의 유력한 계승자인 허성재가 마침 김해에 내려왔던 것이다. 허성재와 그 문도들은 조선 말기의 혼란한 정국에서 그들이 가진 포부를 제대로 실현할 기회를 얻지는 못했지만, 대신 그들은 유가 지식인 본연의 도덕성과 합리성에 입각해서 고유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근간으로 조선 사회와 문화의 건강성을 되찾고자 했다. 그래서 허성재와 그 문도들의 저술에는 성리와 이기심성에 대한 번쇄한 논변이 극히 드문 대신, 인륜 기강을 부식하고 조선의 역사・문화・제도를 강구하며 경세제민의 현안에 대한 논의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허성재의 문도들 가운데는 망국의 비운을 당해 일제의 강압통치에 대항하여 경세치용의 이상이 담겨 있는 근기실학파의 문집과 저술을 간행 보급하거나, 조선 역사와 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민중의 계몽과 조선 독립을 위해 헌신한 사람이 많았다. 이들은 20세기 초 새로운 한국민족문화의 건설에 적지 않은 족적을 남기기도 했다. 이런 의미에서 허성재를 “조선말 근기실학의 종장”으로 부를 수 있다고 본다.

이 책은 성재 허전의 학문과 사상, 시대배경을 통해 나타난 실천의식을 중심으로 한 14편의 글이 실려있다. 이 글들을 통해 내우외환에 직면하여 풍전등화와도 같았던 19세기 말 조선 민중의 생활 안정을 무엇보다 중시했던 성재 허전의 학문 사상이 근기실학의 종요로운 정신을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목차
책머리말

제1부 근기실학의 부흥과 허전의 삶・학문
허전의 생애와 학문연원 _ 3
1. 허전 연구의 의미 _ 3
2. 허전의 생애 _ 7
3. 허전의 학문연원 _ 35
4. 맺음말 _ 50

허전의 학문사상과 그 학술사적 위상 _ 51
1. 서설 _ 51
2. 성호학의 계승 전파자 _ 53
3. 『수전록』과 「삼정책」의 개혁사상가 _ 56
4. 『종요록』의 경학사상 _ 61
5. 척사위정론과 예학 저술 _ 66
6. 결어 - 조선말기 성호학파와 성재 허전의 위상 _ 73

허전 저술고략 _ 77
1. 『성재집(性齋集)』(『용어(庸語)』) _ 78
2. 『사의(士儀)』・『사의절요(士儀節要)』 _ 82
3. 『종요록(宗堯錄)』・『철명편(哲命篇)』 _ 87
4. 『수전록(受廛錄)』 _ 91
5. 『초학문(初學文)』 _ 94
6. 기타 중요 부전 저술 _ 96


제2부 민천(民天)사상의 경학적 전개
『종요록』에 나타난 허전의 경학 관점 _ 105
1. 서론 _ 105
2. 『종요록』의 경학 논의 관점 _ 108
3. 『종요록』의 경문 주석 _ 127
4. 제왕학과 천민경덕도의 의미 _ 132
5. 『종요록』과 「삼정책」 _ 144
5. 결론 _ 152

허전의 「시경강의」에 나타난 설시 관점 _ 155
1. 서론 _ 155
2. 시경강의의 진행과정 _ 158
3. 허전의 설시 관점 _ 163
4. 설시풍간의 방향 _ 177
5. 허전 시경론의 연원 _ 198
6. 결론 _ 212

허전의 제도개혁론 _ 214
1. 머리말 _ 214
2. 무실과 중민의 경세관 _ 215
3. 제도개혁론의 주요 내용 _ 221
4. 맺음말 _ 233

경연강의를 통해 본 허전의 정치사상 _ 235
1. 머리말 _ 235
2. 허전 정치사상의 기조 _ 236
3. 경연강의를 통해 본 정치론 _ 240
4. 맺음말 _ 249

허전의 세자교육론과 『철명편』 _ 251
1. 머리말 _ 251
2. 제왕학으로서 세자교육 _ 253
3. 『철명편』의 편차와 구성 _ 257
4. 허전의 세자교육론의 내용과 성격 _ 262
5. 맺음말 _ 272

제3부 『사의』와 예학 사상
허전의 『사의』 예설에 대하여 _ 275
1. 서설 _ 275
2. 『사의』의 편차와 내용 _ 277
3. 『사의』 논례의 요지 _ 282
4. 『사의』 예설에 대한 논란 _ 296
5. 『사의』 예설의 특성 _ 303
6. 결론 _ 309

『사의』 예설에 수용된 퇴계학파의 예학 관점 _ 311
1. 서론 _ 311
2. 『사의』 예설의 특징과 그 연원 _ 313
3. 결론 _ 335

허전 예설의 수양자 문제에 대하여 _ 337
1. 서론 _ 337
2. 「가례도」와 다산의 「수양부모복론」 _ 340
3. 허전 「수양모복의」의 수양 의리 _ 354
4. 허전 「수양모복의」의 의의 _ 363
5. 결론 _ 370

『사의』 간행 경위와 편제 _ 373
1. 사대부의 예전(禮典), 『사의』 _ 373
2. 영남 학인과 『사의』 _ 375
3. 『사의』 간행의 경위 _ 379
4. 『사의』의 편제 _ 385

제4부 문자학과 문학세계
허전의 「초학문」에 대하여 _ 393
1. 서론 _ 393
2. 허전의 저술과『초학문』의 편찬의도 _ 394
3. 초학문의 내용에 반영된 성재학의 일단 _ 402
4. 결어 _ 413
저: 정경주
1953년 경남 사천 출생. 부산교육대학과 동아대를 거쳐 부산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동 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지성사와 한시학 및 경학, 특히 예학 연구에 관심을 기울여 『 한국예학총서』의 편찬과 『사의 1-5』(2006), 『상변통고 1-10』(2009), 『가례증해1-6』(2011) 등 예학서의 번역 간행을 주관했다. 저서로는 『성종조 신진사류의 문학세계』(1993), 『해운대󰡕(1997), 『미수경설비해』(2000), 『한국고전의례상식』(2000), 『한국중세문화인물연구』(2010), 『점필재 김종직 종가『(2011) 등이 있고, 역서로는 『부산시금석문』(1984), 『동래향교향청고왕록』(1988), 『내부일기』(1995), 『청옹선생문집』(1999), 『애인구청등록1-5』(2004-2008), 『전객사등록1-4』(2009-2012) 등이 있다.
저: 김철범
1961년 부산 출생. 성균간대 한문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를 받았다. 현재 경성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있다. 한국 실학연구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는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에 근무하면서 한국실학에 관심을 가졌고 경성대에서 정경주 교수와 의기투합해 성재 허전연구에 착수했다. 그와 관련된 연구로는 「삼원당 허원식의 삶과 현실인식-조선말 지식인의 현실대응 인식」, 「심재 조성렴의 학문과 실천」 등이 있다. 저서로는 『한문산문 글쓰기론의 논리와 실제』(2012)가 있고, 역서로는 『영언여작』(공역, 2007), 『뽑히지 않는 바위처럼』(2010)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