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018년은 고려건국 천백년, 경기천년을 맞은 해입니다. 고려는 우리 역사에서 남북을 아우른 실질적인 통일왕조였습니다. 고려 태조의 통치이념인 ‘일통삼한一統三韓’은 현재 남북의 분단상황에서 우리에게 던져주는 ‘통일’의 메시지입니다. 70여년 넘게 지속된 남북의 대치상황은 2018년 새해부터 급변했습니다. 3차례에 걸친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북중정상회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동아시아의 정세와 환경이 평화를 향해 바뀌고 있습니다. 고려건국 천백년과 경기천년을 기념하는 계기도 보다 다양한 방면에서 하나하나씩 성과를 이루었으면 좋겠다는 소망이 있습니다. 이 책은 고려건국 천백년과 경기천년을 기념하여 2018년 4월 한국역사연구회와 인천문화재단, 경기문화재단이 함께 개최한 학술회의인 ‘고려 건국과 경기 성립의 역사적 의의’의 발표논문을 수정·보완한 결과물입니다. 이때 학술회의는 고려사회 역사상의 변화를 살펴본 「재통일사회에서 귀족사회로」라는 기조발제를 시작으로 제1부 ‘고려와 경기 지역의 역사’, 제2부 ‘고려와 개경에 대한 메타역사학적 접근’으로 나뉘어 각 부에서 4편의 논문이 발표되고 토론이 있었습니다. 제1부에서는 ‘해동천하’로 대표되는 고려시대의 세계관과 경기제의 운영, 몽고의 침입에 대한 대응, 개경開京 연구에 대한 전망이 다루어졌고, 제2부에서는 고려의 국호 연원, 고려말 개혁군주였던 공민왕을 통해 본 고려에 대한 역사인식의 변화상, 근현대 개성사람에게서의 고려 이해, 해방 직후 거론되었던 고려 국호론에 대한 문제 등이 논의되었습니다. 1995년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로 나누어지기 이전에 경기와 인천은 하나의 문화권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현재에도 DMZ와 NLL을 경계로 북측과 마주하고 있는 분단지역이라는 역사적 환경을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 그만큼 두 지역의 역사문화환경이 다르지 않음을 뜻합니다. 이번을 계기로 인천문화재단과 경기문화재단은 남북문화교류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협의한 바 있습니다. 특히 역사분야의 교류와 사업추진에서는 관련학계의 도움과 협업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한국역사연구회와의 협업도 좋은 사례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3개 기관과 학회의 노하우가 좋은 시너지로 결과 맺기를 기대합니다. 2019년은 고려가 개성에 도읍한 지 천백년이 되는 해입니다. 『고려사』에는 919년 음력 정월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올해 고려건국 천백년, 경기천년의 기념 학술회의는 남측의 관련기관과 학회, 또는 북측의 관련기관과 학회에서 별개로 진행되었습니다. 정말 아쉬운 대목입니다. 얼마 남지 않은 ‘개성 정도定都 천백년’ 기념행사는 남북의 관련기관과 학회가 함께 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런 우리의 마음을 담아 이 책의 출판을 기념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학술회의에 귀한 옥고를 발표해주시고 토론해주신 여러 선생님과 경기, 인천 두 재단 및 한국역사연구회의 관계자 선생님들께 충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목차
발간사
총론 고려 역사상의 변화 -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단원구성을 중심으로 - 1. 해방 직후와 교수요목시기 2. ‘재통일사회’ 고려 : 1차 교육과정 3. 성격을 감춘 고려 : 2차~4차 교육과정 4. ‘귀족사회’ 고려 : 5, 6차 교육과정 5. 회귀와 반복 : 7차 교육과정과 그 이후
1부 고려왕조와 경기
1장 고려 문종 대 해동천하 인식의 형성과 그 의미 1. 태조 대 정치이념의 토대와 국제國制의 방향 2. 광종~정종 대 왕조 체제의 모색과 변화 3. 문종 대 ‘해동천하’ 문명인식의 성립
2장 여말선초 경기 영역과 운영 1. 경기의 통치체제 2. 경기 영역의 정비 3. 경기지역의 운영
3장 대몽전쟁기對蒙戰爭期 강화천도江華遷都의 외교적 배경과 경기도 권역의 군사적 대응 1. 1232년 강화천도江華遷都의 외교적 배경 2. 강화천도에 대한 경기도 권역의 인식과 반응 3. 강화천도 전후 경기도 권역의 대몽항전
4장 고려 국도 개경 연구의 기초자료 현황과 전망 1. 개경 연구의 발자취 2. 개경 기초자료 정리의 현황 3. 개경 연구의 전망
2부 고려와 개경에 대한 메타역사학
1장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단절과 계승 1. 주몽고려 2. 국호변경 불인정에 대한 반론 3.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 4. 고구려, 후고구려, 고려, 코리아의 단절 5. 주몽고려, 궁예고려, 왕건고려, 코리아의 계승
2장 조선시대 공민왕 인식의 변화과정 1. 조선 초기의 공민왕 인식 2. 종계변무 문제와 공민왕에 대한 인식 변화
3장 근현대 개성인에게 끼친 고려의 영향 1. 개성인의 위상 제고와 주류 편입 2. 김택영의 역사서술과 유민 의식 3. 고려의 유풍과 유민 의식의 저류底流
4장 해방직후 고려 국호론의 전개와 고려 표상 1. 국호 논의의 대두와 고려 국호론의 전개 2. 고려 국호론의 고려 표상 : 민족성과 세계성 3. 고려 국호론의 의의와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