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과 젊은 세대를 위한 경이로운 대한민국 탄생사
최창묵 저
33,000원
33,000원
판매중
경인문화사
종이 표지
152*224mm(A5신)
530쪽
2025년 4월 11일
9788949968568
책 소개
진보와 보수를 넘어 역사의 진실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정리하다

본서는 서세동점 하던 조선 말 격랑에 휩쓸리다가 국권을 상실하고 의열투쟁과 실력양성으로 광복을 준비해오고, 해방 후 미·소와 좌우익과 남북 간의 갈등 속에 어렵게 대한민국이 탄생하는 과정을 새로운 각도로 그렸다. 이승만 정권 출범 후 한국전쟁과 장기 독재 속에 국민이 힘을 모아 산업화와 민주화에 성공하여 세계인이 부러워하는 경이로운 대한민국이 만들어진 과정을 공정한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서술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러나 오늘날 대한민국 탄생을 바라보는 시각이 진보와 보수 간에 간극이 크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국민들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책은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에서 대한민국이 탄생하기까지 진보냐 보수냐를 떠나 민족의 미래를 위해 땀 흘려 노력하고 헌신했던 사람들의 역할을 중심으로 중도통합의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목차
추천사
서평
책을 내면서

제1부 조선의 근대와 일제강점과 광복운동
1장 조선 후기 나라 안과 밖이 변하다
1. 조선 후기 내적 변화와 서세동점
2. 서양세력의 침투와 조선의 대응
3. 민족종교 동학이 창도되고 널리 퍼지다
4. 동아 3국의 대응과 조선의 문호개방
5. 임오군란을 넘어 서구열강에 문호를 열다
6.근대국가를 꿈꾼 갑신정변과 열강의 세력경쟁

2장 평등을 향한 동학농민혁명과 조선의 대변혁
1. 동학농민혁명 평등세상을 꿈꾸다
2. 청일전쟁과 갑오경장
3.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4. 위기 속에 등장한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5. 한말 역사 전면에 등장한 민중 활동

3장 일제의 침략과 나라 지키기운동
1. 일제의 국권침탈과 의병운동
2. 민족주의자들의 애국 자강운동
3. 백성을 위로 격려한 종교 활동

4장 일제의 무단통치와 3·1독립만세운동
1. 일제의 억압과 침탈에 대항하는 독립운동
2. 대한민국의 출발점, 이백만명이 참여한 3·1독립만세운동
3.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4. 문화통치의 표방과 산업침탈
5. 민족운동의 새 양상
※ 도움 글 잊혀진 인물 김성수

5장 다양한 독립투쟁과 민족말살정책
1. 사회주의 등장과 민중 활동의 세력화
2. 국내협동전선과 해외 독립투쟁
3. 일제의 민족말살 정책과 다양한 항일
4. 1930년대 이후 해외 광복 항일투쟁

제2부 해방과 경이로운 대한민국의 탄생
6장 해방과 좌우익의 투쟁
1. 세계정세와 한국 해방
2. 38선의 분단과 미·소군 진주
3. 해방 직후 남한 정치세력들의 동향
4. 미군정의 여당 한민당과 이승만·김구의 환국
5. 모스크바 삼상회담과 반탁운동

7장 미소공위 결렬과 남북한 정부수립
1. 1차 미소공위의 결렬과 남북한 정치상황
2. 남한 정당들의 활동과 좌우합작 추진
3. 6·3정읍발언과 남한단정 추진
4. 좌익의 단정반대 투쟁과 남북연석회의
5. 남과 북에 단독정부가 수립되다

8장 대한민국 산업화와 민주화의 새 역사를 이루다
1. 이승만의 1공화국과 한국 전쟁
2. 전쟁 폐허 속에 산업화의 기반을 만들다
3. 국부를 자임한 이승만과 4·19민주혁명
4. 5·16군사정변과 박정희의 산업화와 유신독재
5. 전두환의 군사정변과 5·18광주민주항쟁
6. 노태우 직선 대통령과 김영삼 문민정부
7. 김대중 최초로 여야 정권교체를 이루다
8. 민주화로 여야 정권교체가 정착되다

맺는 말
찾아보기
사진출처
저: 최창묵
- 얼역사연구소 소장

전북 정읍 출신으로 젊은 시절 부산에서 고학 생활을 거쳐 서울에서 수년간 독학으로 행정고시에 도전하다가, 4급을 공채로 고향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하였다. 고향 발전을 위해 역사연구 모임인 얼학회를 창립 운영하였고 청소년 향토학교장, 동학혁명100주년기념사업회 부회장, 정읍 서영여고 운영위원장, 호남고속철도 정읍역유치 상임고문, 소피아아카데미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2002년 ‘부정 없는 공직과 깨끗한 정읍’을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정읍시장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 많은 호응 속에 선전하였다. 다음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월등한 지지로 승리하였으나 고비용 선거구조로 사퇴하고, 민주당 중앙당 지방자치위 부위원장과 대선선대위 교육문화위 부위원장을 끝으로 정계를 떠났다.
2009년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동학농민혁명’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원광대 사범대 역사교육과와 호원대 교양학부에서 후학을 지도하였다. 현재는 얼역사연구소장으로 《한민족과 고조선 한韓》, 〈6·3 정읍선언과 민주성지 정읍의 근현대사〉등 저술활동과 강의 등으로 우리 역사 연구와 알리기에 정진하고 있다.
E-mail hopecm2483@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