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연구총서 2
결혼이주여성의 삶과 적응
김태원 저
2012년 6월 30일
20,000원
『결혼이주여성의 삶과 적응』은 생애구술사 시리즈로, 9명의 구술참여자에 대한 결혼이주과정과 한국에서의 생활을 담고 있다. 이들의 국가분포를 보면 중국 3명, 베트남 2명, 필리핀 1명, 홍콩 1명, 네팔 1명, 키르키즈스탄 1명으로, 이들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자녀가 있다. 본 생애구술사는 가공되지 않은 구술자의 ...
0.0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77
FRAND 확약의 효력과 표준특허권 행사의 한계
나지원 저
2018년 6월 20일
20,000원
최근 스마트폰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업체 간의 경쟁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관련 특허분쟁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삼성과 애플 간의 전 세계를 무대로 한 ‘특허전쟁’에서 비롯되었다. 삼성과 애플의 분쟁을 포함한 일련의 특허분쟁을 계기로 각국의 법원과 경쟁당국은 특허기술에 대한 표준 설정에 부수하여 특허...
3.8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
住宅의 競賣와 賃借人 保護에 관한 實務硏究
민일영 저
2005년 11월 10일
20,000원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마당인 경매절차에서 주택임차인 및 다른 이해관계인들의 이익을 조절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드러나고 있는 문제점은 무엇이며, 그 해결책은 무엇인가를 찾아보려고 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입법론을 겸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0.0

한국의 1967년 GATT 가입 협상
박노형, 정명현 저
2022년 12월 15일
20,000원
한국의 GATT 가입 과정을 통해 통상외교를 연구하다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외교사연구센터에서는 2018년부터 「한국외교 협상사례연구」를 시작했다.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주요 외교협상사례의 배경, 주요 쟁점, 전략, 과정, 성과와 후속 조치 등을 체계적으로 서술함으로 자료로 활용하면서, 유사한 협...
0.0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03
도시계획법과 지적 한국과 일본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기철 저
2022년 2월 10일
20,000원
도시계획법과 지적의 현황과 발전 발향 현행 도시계획법제에서는 건축허용성과 건축단위(도시계획 기본요소)에 대한 규율이 불분명하고 지적제도(토지의 소유권을 표상하는 제도)가 건축단위와 건축허용성을 반영하는 도시계획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현행 실무에서는 지적의 민사적 기능만 강조될 뿐, 지적이 수행하는 도시계획적...
0.0

풍수좌향과 심혈명당
오세균 편저
1996년 12월 27일
20,000원
0.0

출판미디어법
이구현 저
2001년 8월 26일
20,000원
1960년대 초부터 1999년도까지의 출판관련 판례들이 총망라된 법제서. 개정된 출판관련 법들과 현재 입법 예고되어 있는 제 법률 개정에 대한 필요성과 입법 배경을 소개하고 있으면 아울러 주무부처의 훈령, 예규, 고시도 포함시켰다.
2.88636363636364

판결과 기록의 공개, 그리고 투명한 사법
이상원 저
2012년 2월 29일
20,000원
제1장 서론 제2장 일본의 현황 Ⅰ. 서언 Ⅱ. 기록의 공개 Ⅲ. 판결문의 공개 Ⅳ. 결어 제3장 재판공개의 현황 Ⅰ. 헌법적 함의 Ⅱ. 법령의 내용 Ⅲ. 공개의 현실 제4장 재판공개 관련 입법의 최근 현황 Ⅰ. 개요 Ⅱ. 각 법률안의 내용 Ⅲ. 최근의 개정법률 제5장 재판공개의 방안 Ⅰ. 판단의 틀 Ⅱ. 쟁점별 검...
3.33333333333333

생애구술사 1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
이용승, 이화숙, 임보름 저
2013년 12월 31일
20,000원
이 책은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세계를 탐구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진행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것이다. 결혼이주여성과 관련하여 한국 사회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다문화적 상황을 글로컬(Golbal + local) 생활세계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연구가 시작되었다. 따라서 결...
2.33333333333333

긴급 프로젝트 한반도 핵균형론 북한의 핵보유국화와 미중 패권경쟁
이우탁 저
2023년 7월 17일
20,000원
서울 상공에서 핵폭탄이 터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지난 30년간 북한 핵문제에 천착하면서 힘들었던 것은 한국인들의 이중성이었다. 북한의 비밀 핵개발을 기필코 저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은근히 핵무기를 동경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심지어 “통일되면 우리의 자산이 될 텐데”하는 반응...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