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교육제도사연구
신천식 저
1998년 10월 14일
22,000원
0.0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8
형법상 법률의 착오론
안성조 저
2006년 12월 30일
22,000원
『형법상 법률의 착오론』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법의 착오이론 및 법리를 시작으로 법리의 역사적 형성과정, 형법 제16조의 제정경위에 대한 연혁적 고찰 및 해석론의 전개과정, 형법 제16조의 해석과 단순한 법률의 무지 등의 주제로 나누어 '형법상 법률의 착오 문제를 '면밀히 고찰한다. 특히 현대 세계 각국의 법률의 착오...
0.0

북학대학원대학교총서 8
북한특강 2020: 과거와미래
왕선택, 김동진, 권은민 저 외
2020년 1월 30일
22,000원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가능성 북한대학원대학교는 ‘북대북한연구회’와 함께 2019년 북한학과 개교 30주년을 맞아 3권의 연구총서를 기획하고 발간했다. 세 권의 공통점은 각각 10명의 저자들이 북한에 대한 10개의 이슈를 선정하고, 이에 대해 답을 하는 ‘문답형’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저자들은 모두 10개월 ...
0.0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연구총서 3
정보통신법연구 3
이원우 저
2008년 5월 27일
22,000원
이 책은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에서 발간한 CeLPU 연구총서의 세번째 기획물이다. 국내 통신산업의 공정경쟁제도 및 이용자보호과 관련한 규제 및 정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기술의 발전과 새로운 시장환경에 적합한 통신법상의 규체체계의 재정립을 위해 개최한 학술세미나에서 발표된 논문들로 구성되어 있는 책이다. 통신규...
0.0

집회의 자유와 집시법
이희훈 저
2009년 2월 27일
22,000원
저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바탕으로 그 동안 집시법에 대해 연구한 것을 보충하여 엮은 책이다. 직접 촛불집회에 참여하면서 느낀 집회 자유의 중요성과, 현행 집시법들의 문제점들을 함께 살펴보고 있다. 국민이 집회의 자유라는 기본권을 최대한 보장받기 위해서는 먼저 헌법상 집회의 개념을 비롯한 헌법 제 21조에서 보장하고 있...
0.0

공익과 인권 18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
정인섭, 황필규 편
2011년 3월 21일
22,000원
『난민의 개념과 인정절차』는 크게 5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의 난민수용 실행과 경험, 난민지위협약상의 가장 기본적 개념인 공포, 박해, 박해의 사유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난민의 요건과 인정절차 전반을 분석하였으며, 난민 개념의 새로운 이해라는 관점의 글과 난민문제에 관한 기본문서를 함께 수록하였다.
2.25

국정과제협의 정책기획시리즈 19
위기와 미래 문재인 정부 국정비전의 진화와 5대 강국론
조대엽 , 윤태범 , 김태진 저 외
2022년 3월 30일
22,000원
정책기획위원회 5년을 돌아보며, 국정과제협의회 정책기획 시리즈를 발간하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지 어느덧 4년을 훌쩍 넘겨 5년차를 맞았다. 전임 대통령의 탄핵과 함께 새 대통령의 선출이 법과 정치적 절차의 훼손 없이 제도적으로 진행되어 ‘제도혁명’이라 부를만한 특별한 정치과정이었다. 2017 선거 이후 대통...
0.0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19
중국의 계약책임법
채성국 저
2008년 10월 6일
22,000원
이 책은 필자의 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중국 계약법에서의 계약책임에 관하여 한국 민법과 비교ㆍ검토한 것이다.
0.0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20
중지미수의 이론
최준혁 저
2008년 10월 27일
22,000원
이 책은 형법의 기능인 법익보호에 기반하여 형법 제26조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중지미수에 관한 각국의 법조문과 판례, 이론을 참고하였으며 법조문의 변천과정에도 관심을 기울였고, 판례와 학설의 내용을 자세히 검토하였다.
3.39641434262948

국정과제협의 정책기획시리즈 16
디지털시대의 정책과 통상전략
최지은 , 김형준 , 오태원 저 외
2022년 2월 28일
22,000원
정책기획위원회 5년을 돌아보며, 국정과제협의회 정책기획 시리즈를 발간하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지 어느덧 4년을 훌쩍 넘겨 5년차를 맞았다. 전임 대통령의 탄핵과 함께 새 대통령의 선출이 법과 정치적 절차의 훼손 없이 제도적으로 진행되어 ‘제도혁명’이라 부를만한 특별한 정치과정이었다. 2017 선거 이후 대통...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