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족집단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준거집단이다. 제사를 비롯한 각종 의례는 한국인의 생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종족집단 내의 인간관계가 사회로 확산하여 대인관계의 주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개인에 대한 사회적 평가도 종족집단의 격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마을의 사회조직과 주민들의 사회관계도 종족구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종족집단의 활동도 많이 침체하고 있지만, 종족집단은 여전히 한국인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 종족집단의 기초 이해 Ⅰ. 종족집단의 개념 Ⅱ. 종족집단의 결합범위와 조직 Ⅲ. 종족집단의 기능 Ⅳ. 주요 용어의 검토
제2장 : 한국 종족집단의 연구사 Ⅰ. 서론 Ⅱ. 일제강점기의 한국 종족마을 연구(1930~1945) Ⅲ.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종족집단 연구(1960~1979) Ⅳ.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종족집단 연구(1980~1999) Ⅴ. 2000년 이후의 종족집단 연구(2000~2020) Ⅵ. 평가와 과제
제3장 : 종법의 수용과 종족집단의 조직화 Ⅰ. 머리말 Ⅱ. 종법 도입 이전의 한국 가족제도: 부계 혈연집단의 미조직화 Ⅲ. 성리학의 도입과 종법제도의 정착 Ⅳ. 조선 중기 한국 가족제도의 변화 Ⅴ. 조선 후기 한국 가족제도의 특징 Ⅵ. 맺는 말
제4장 : 한국 종족집단의 구성원리 Ⅰ. 머리말 Ⅱ. 종족의식의 구체적 내용 Ⅲ. 종족조직의 활성화 조건 Ⅳ. 맺는 말
제5장 : 삼성종족마을의 혼인연대 Ⅰ. 서론 Ⅱ. 세 성씨의 원구리 정착 과정과 종족 정체성 Ⅲ. 세 성씨의 혼인관계 Ⅳ. 동제와 줄다리기에서 나타나는 종족 간의 경쟁과 협동 Ⅴ. 맺는 말
제6장 : 종족구성과 마을조직 Ⅰ. 서론 Ⅱ. 조사 대상 마을의 종족구성 Ⅲ. 마을의 사회조직 양상: 동제조직・장례조직・노인들의 교유관계 Ⅳ. 종족구성과 마을조직의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