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7
조선전기 사원경제 연구
이병희 저
2023년 8월 22일
28,000원
조선전기 사원경제의 상황은 어떠할까? 본서는 사찰의 경제 활동, 승려의 생산 및 사회 활동, 개별 사찰의 위상과 경제, 사찰의 망폐와 유물 등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전기 사원경제를 기준으로 보면, 사원이 위축된 것은 분명하며, 또 불교계가 약화된 것도 명백한 사실이다. 그렇다고 사원이나 불교계가 絶滅...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6
군관 일기 17세기 함경도 변방에서의 일년
우인수 저
2023년 7월 18일
16,000원
『부북일기』를 통해 본 17세기 부방생활 『부북일기』는 함경도로 부방하러 간 울산의 무과급제자가 남긴 일기이다. 이 일기를 남긴 주인공은 경상도 울산의 박계숙・박취문 부자인데, 아버지와 아들은 약 40년의 시차를 두고 함경도 최전방지역인 회령에서 1년간씩 군관으로 복무하였다. 본서는 『부북일기』의 내용을 세밀하...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5
한국전쟁기 학교와 학생
김상훈 저
2023년 6월 25일
28,000원
한국전쟁기의 교육사를 연구하다 한국전쟁은 한국인들에게 엄청난 인적·물적·정신적 피해를 주었고, 그 여파는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전쟁의 원인을 규명하고, 그 책임을 묻는 과정은 필요하다. 동시에 한국전쟁을 겪으며 살았던 사람들의 모습도 살펴봐야 한다. 그중에서도 전쟁이 무엇인지 모르고 왜 전쟁이 벌어졌...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4
조선초기 중앙군 운용 연구
김웅호 저
2023년 2월 20일
26,000원
조선전기 국왕을 비롯한 집권세력은 수도 한양을 외침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어떠한 방안을 강구했을까? 1392년 태조 이성계는 개경 수창궁에서 왕위에 올랐다. 1394년 8월에 한양을 최종적인 천도 후보지로 결정하고 10월에 전격적으로 한양 천도를 단행했다. 천도에 앞서 태조는 권중화・정도전 등을 한양으로 파견하여...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3
[추천] 朝鮮飢饉史 조선기근사
오호성 저
2022년 10월 19일
47,000원
조선의 기근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조선 건국 초부터 500년 간 백성들의 가난과 굶주림 문제는 계속되어왔다. 조선 역사 가운데 영조와 정조 시기는 한국사의 르네상스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시대의 정치는 안정되고 경제도 번창하고 문화는 창달되었다고 교과서에 쓰여있다. 영조는 탕평책을 실시하여 인재를...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2
조선후기 류치명의 시대인식과 문인집단
김지은 저
2022년 9월 27일
21,000원
영남 남인 ‘류치명’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문인집단들은 어떠하였을까? 류치명은 19세기의 다양한 시대적 혼란 속에서 김성일로 이어진 퇴계학맥을 대표하는 위치에 선 인물이다. 퇴계학 연구와 전승에 심혈을 기울인 보수적 사상가로 알려진 류치명과는 달리, 그의 제자들은 민족운동에 헌신한 실천적 성향으로 학계의 주목을...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1
조선시대 한문 기행일기
김미선金美善 저
2022년 5월 3일
17,000원
조선시대의 한문 기행일기를 한눈에 살펴보다 기행일기는 작품 수량이 많고, 형식적・문학적 완성도가 높으며, 다양한 여정을 담고 있어 조선시대 여러 일기 중에서 중요성이 높다. 하지만 이에 비해 조선시대 기행일기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필자는 1,288편의 조선시대 한문 기행일기를 정...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80
한국 근대문화와 민족운동
최기영 저
2021년 12월 30일
27,000원
한말, 일제강점기의 근대문화와 민족운동 이 책은 ‘한말과 일제강점기의 근대문화와 민족운동’이라는 공통주제 안에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었다. 먼저 제1부에서는 한말 근대문화의 수용으로, 전통사회와는 다른 법률체계를 수용의 출발점이었던 법관양성소와 근대적 개념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인 한말 사회에서 논의...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79
고종의 미관파천(美館播遷) 시도와 한미관계(1894~1905)
장경호 저
2021년 8월 27일
19,000원
고종의 미관파천 시도를 통해 돌아보는 한미관계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미국과 가깝게 지냈을까? 이 책은 한미관계의 시초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초대 주한미국공사를 맡은 루시우스 푸트(Lucius H. Foote)가 남긴 “미국은 조선과 가장 먼저 조약을 체결한 국가이며, 마지막까지 조선에 머무르는 나라가 될 것...
0.0

경인한국학연구총서 178
고려시대 정치사의 제문제
권영국 저
2020년 12월 21일
26,000원
고려사회에 당과 송의 정치제도는 어떻게 접목되었을까? 3성6부를 중심으로 하는 고려 정치제도는 당의 6전 체제를 모범으로 하는 것이었다. 3성6부제는 중서성에서 입안한 정책이나 법제등을 문하성의 재상들이 심의 의결하는 귀족 중심의 정치제도이고, 중서문하 삼사 추밀원을 중심으로 하는 송의 정치제도는 황제의 명이 ...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