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35
'몸'으로 본 한국여성사
국사편찬위원회 편저; 권순형, 김미정 저 외
2011년 10월 31일
30,000원
한국 고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크게 3부로 구성된 『몸으로 본 한국여성사』. 시대에 따라 여성의 몸이 어떻게 인식되고 어떤 의무가 부과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시대 구분을 따랐다. 제1부는 원시시대부터 고려, 제2부는 조선, 제3부는 개항 이후 1970년대까지의 내용을 담았고 총 8편…
3.75

[추천] 건요 연구 建窯 硏究
이희관 (李喜寬) 저
2025년 2월 27일
37,000원
건요와 관련된 다양하고 흥미로운 문제들을 탐색하다 건요는 일찍부터 송대의 대표적인 명요 가운데 하나로 꼽혀왔다. 건요가 이렇게 유명해진 것은 이 요장에서 생산한 흑유완이 송대 최고의 찻잔으로 평가되었기 때문이다. 건요흑유완은 어용자기로 채택되어 공어되었는데, 굽의 안바닥에 “공어(供御)” 혹은 “진잔(進琖)”이라는…
0.0

공익과 인권 15
군대와 성평등
2009년 8월 30일
20,000원
편 : 양현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다.
3.06324110671937

김복진, 기억의 복각 1930년대 조선 제1의 여자 연극배우·아동문학가
정인섭 저
2014년 5월 31일
30,000원
이 책은 나의 친할머니 김복진(金福鎭: 1909-1950)의 삶과 활동에 관한 기록이다. 그는 대한제국 말기 넉넉지 못한 집에서 태어났지만 여자로서는 드물게 오늘날로 치면 대학교육까지 받았다. 그는 조선 신극운동의 기수였던 극예술연구회(劇藝術硏究會)의 일원으로 극연의 정규 공연(1932-1939)에서 남녀 회원 통 …
2.92009325985587

다산문화시리즈 4
남양주 불화
임병규, 나호열, 민경조 저 외
2007년 10월 5일
14,000원
남양주의 문화재를 살펴보는『풍양문화 시리즈』제4권으로 이 책은 일반교양인은 물론 학생들을 위한 불화에 대한 입문서이자 교양서이다. 필요한 항목은 도판을 곁들여 이해를 돕고 있다.
1.40760521256142

단원 김홍도와 아들 연록 이야기
이근우(李根雨) 저
2025년 5월 26일
55,000원
조선의 화원, 한 아버지와 아들의 숨겨진 이야기 단원의 아들도 그림을 그렸으며 추사 김정희도 그의 재능을 칭찬했지만, 아버지의 큰 그늘에 의해 잊힌 아들이다. 그의 작품은 국립중앙박물관, 간송미술문화재단, 리움미술관, 고려대학교 박물관,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단원이 자식을 생각하는 애틋한 마음…
0.0

동아시아의 방송과 문화
김광옥 저
1997년 12월 28일
14,000원
아시아에 대한 외국의 위성방송 영향, 동아시아의 방 송, 아시아의 위성들, 아시아 방송의 미래, 코리아채 널 운영에 대한 제안, 방송과 통신의 융합 등 아시아 방송 전반을 고찰한 전문서.
2.55555555555556

마오와 나의 피아노 모택동에서 바흐로
주 샤오메이(朱曉玟) 저; 배성옥 번역
2017년 5월 29일
22,000원
중국이 낳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주 샤오메이, 그녀가 경험한 문화대혁명과 폭풍 같았던 예술가의 삶! ‘출신성분이 나쁜 음악학도’에서 ‘혁명열사’로, 그리고 다시 음악을 꿈꾸기까지… 생존한 예술가의 눈으로 파헤친‘문화대혁명’이야기 1969년 중국 베이징에서 어린 샤오메이는 그녀의 부모가 교양과 인품을 갖춘 ‘…
3.66666666666667

한국문화사 38
무속, 신과 인간을 잇다
국사편찬위원회 편저; 서영대, 이경엽 저 외
2011년 12월 20일
31,000원
이 책은 역사, 무속의례, 무당, 무당굿놀이, 서구인의 시선 등을 중심으로 무속을 입체적으로 조망한다. 먼저 무속의 역사를 개괄한 후, 이어서 그 무속이 구체화되는 무속 의례, 무속 의례의 핵심적 주체 중 하나인 무당, 무당이 연행하는 굿 속에서 흥미롭게 존재하는 무당굿놀이, 그리고 무속에 대한 서구인의 시선 등으로 …
1.5

뮤지컬의 상호매체성과 혼종의 미학
조복행 저
2014년 8월 29일
26,000원
뮤지컬 열기가 대단하다. 저자는 이런 뮤지컬 열기를 바흐친의 「소설화」 개념을 차용하여 「뮤지컬화」 라고 부른다. 왜 뮤지컬에 열광하는가? 뮤지컬의 어떤 특성이 이런 현상을 만들어냈는가? 오페라・경극・가부끼 등은 대중들의 가장 큰 오락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뮤지컬이 대중들의 선호 장르가 되었다. 같은 내용이라도 오페라 …
3.23809523809524